일상에서 사용하는 가스레인지가 자동차 배기가스에 맞먹는 유해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온라인 커뮤니티에 따르면, 강상욱 상명대 화학에너지공학과 교수는 유튜브 채널 '의사친'에 출연해 가스레인지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강 교수는 "가스레인지를 켜는 행동만으로도 일산화탄소와 이산화질소 같은 유해물질이 발생한다"며 "미국 화학협회조차 가스레인지를 전기레인지로 교체하라는 입장문을 발표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내 급식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폐 건강 검사에서도 우려할 만한 결과가 나왔다. 하루 약 8시간 가스레인지 앞에서 일하는 종사자 가운데 30%가 폐 이상 소견을 받았다. 젊은 종사자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에 주방 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강 교수는 "가스레인지를 하루 이틀 사용한다고 문제가 생기진 않는다. 하지만 매일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몸이 망가질 수밖에 없다"라며 "여성 폐암 환자의 약 90%가 비흡연자다. 의학계에서는 주된 원인으로 주방 문화를 꼽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스레인지의 주연료인 메탄가스는 연소 과정에서 산소가 부족하면 일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 특히 일산화탄소 측정기의 경보음이 울릴 정도로 유해하다. 또 800~1300도에 달하는 고온에서는 공기 중 산소와 질소가 반응해 이산화질소를 배출한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가스레인지 교체를 추진 중이다. 가스레인지 신규 판매를 금지하는 법안을 발의하고 소송도 진행하고 있다. 법안이 통과되면 캘리포니아주에서는 가스레인지 판매와 구매가 불가능해진다.
강 교수는 "가스레인지가 위험하냐, 전기레인지가 위험하냐고 묻는다면 단정적으로 말씀드릴 수 있다. 가스레인지가 훨씬 더 위험하다. 차라리 전자파를 맞는 게 낫다"며 "가스레인지를 당장 바꾸기 어렵다면 요리할 때 반드시 창문을 열어야 한다. 최소 두 곳 이상을 열어 공기 흐름을 만들어야 유해물질이 희석된다"고 조언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