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집 온지 107일 만에 일본으로…서산 부석사 불상 한국 떠나

4 hours ago 3

647년 만에 문화재 절도범에 의해 한국 온 불상
12년 간 소송 끝 대법원 선고로 일본으로 다시 반환
10일 봉송법회 갖고 일본행 비행기에

ⓒ뉴시스
왜구에 약탈돼 647년 만에 고향집으로 돌아왔던 서산 부석사 금동관세음보살좌상이 107일 만인 10일 일본으로 떠났다.

부석사는 이날 불상이 모셔진 설법전에서 불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봉송법회를 가졌다.

이날 부석사 주변은 비바람이 몰아치고 연무까지 더해 기구한 불상의 운명을 대변했다.

부석사에 따르면 불상은 1330년 2월 고려 서주 부석사에서 32명이 조성했다.

그후 48년 동안 부석사에 모셔져 있다 1378년 9월 왜구가 700여척의 배를 끌고와 약탈해 갔다.

1526년 5월 대마도에 간논지가 창건되면서 주불로 봉안되고 1973년에는 나가사키현 문화재로 지정됐다.

그러다 2012년 10월 문화재 절도범들이 국내로 밀반입했다가 처분하는 과정에서 경찰에 적발돼 몰수됐다.그 때부터 부석사는 불상 소유권을 주장하며 12년 간 소송을 벌였지만 대법원이 지난 2023년 취득시효를 인정해 간논지 손을 들어줬다.

당시 대법원은 부석사가 불상 소유자라고 인정했으나 국제사법에 따라 취득시효 만료 시점 불상 소재지 법을 적용, 일본 민법을 따라 판결했다.

해당 판결 후 부석사는 하루라도 부석사에 불상을 모실 수 있게 해달라고 정부와 일본 정부에 요청했다.

그렇게 모두에게 허락은 얻은 부석사는 지난 1월24일 불상을 모셔와 지난 5일까지 친견법회를 가졌다.

이제 불상은 인천국제공항으로 옮겨진 뒤 이날 비행기로 후쿠오카를 거쳐 간논지로 돌아간다.

부석사에 따르면 그동안 4만여명이 불상을 찾고 이 중 3만명이 불상을 일본으로 보내지 말라는 서명에 참여했다.

이날 원우 부석사 주지, 주경 대한불교 조계종 중앙총회 의장, 진경 사회부장 등은 이번 반환을 계기로 한·일간 관계 회복을 기원했다.

그러면서 해당 불상을 포함한 일본에 있는 약탈 문화재 또는 정상적으로 넘어간 문화재에 대한 정기적인 교류·전시를 주문했다.

한편 이날 법회에 온 다나카 셋코 간논지 전 주지는 해당 불상을 우선 간논지에 모시고 이후 대마도 박물관에 보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향후 정기 교류·전시에 대해서는 “아직 정해진 바가 없어서 정확하게 말씀드리기 힘들다”고 답했다.

원우 주지는 “부석사에 금동관세음보살좌상 기념관을 지어 1330년 2월부터 시작되는 현재까지의 이야기를 기록·전시하고 또 미래에 우리가 지향해야 될 문제들에 대해서 온 국민이 함께 고민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했다.

[서산=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