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국토부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때 후보지를 발표하고 추진 중인 사업지구 면적 100만 평(330만㎡) 이상 3기 신도시는 8곳으로 약 32만8000채가 공급될 예정이다.
이중 △인천 계양(1만7000채) △남양주 왕숙(7만5000채) △하남 교산(3만7000채) △고양 창릉(3만8000채) △부천 대장(1만9000채)의 일부 물량이 지난해 착공에 돌입했다. 5개 지역 공급 규모는 18만5796채다.
3기 신도시 물량의 절반 이상은 2030년 이후에 공급될 예정이다. 신규 택지는 후보지 발표부터 실제 입주까지 8∼10년이 소요된다. 하남 교산은 2019년 10월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됐는데 2029년 6월이 최초 입주 예정일이다. 여기에 토지 보상 지연, 공사비 인상 등으로 사업 추진이 지연되면서 집값 안정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졌다.이에 국토부는 3기 신도시 내 1800곳에 달하는 공장, 제조업체 등 기업 이전 속도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대부분 먼저 이전을 한 뒤 철거를 추진하는데 이주단지가 조성되지 않아 전체 사업 일정도 더뎌지고 있다.
국토부는 부지 착공 속도를 늦출 수 있는 군부대 이전에도 속도를 내고 철탑을 조기 이설하는 방안도 찾고 있다.
임유나 기자 imyou@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