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경제부총리 간담회
AI 도입률 40%로 대폭 확대
10조 보험·2천억 대출도 병행
정부가 전통적인 공장 500개를 '인공지능(AI) 선도공장'으로 전환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시동을 건다. 또 최대 10조원 규모의 전용 보험 상품과 같은 대규모 금융 지원을 병행한다. 이를 통해 제조업 전반에 AI를 접목해 AI 도입률을 40%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대전 KAIST에서 열린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 간담회'에서 "AI 기반 제조 공정 혁신은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이라며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12일 AI 로봇·자동차 분야에 이어 두 번째 현장 소통을 하는 자리였다.
우선 정부는 현재 5% 미만인 제조 기업 AI 도입률을 5년 뒤엔 4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작년 기준 26개였던 AI 팩토리 선도 사업 공장을 2030년까지 500개로 확대하고, 최대 10조원 규모의 전용 보험 상품과 2000억원 규모의 대출을 지원한다. 스마트공장 구축 예산도 올해 2361억원에서 내년엔 4366억원으로 80% 넘게 늘어난다.
세제 측면에선 AI 연구개발(R&D) 및 데이터센터 투자 세액공제를 늘린다. 국내로 복귀하는 AI 인재에 대한 소득세 50% 감면 정책은 2028년까지 연장한다.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설비에 대해서는 2028년까지 가속상각(50% 범위)을 신설해 초기 투자 부담을 낮춘다. 구 부총리는 "AI 대전환 15대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시장을 가장 잘 아는 기업을 중심에 두고 예산·세제·금융·규제 완화를 패키지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정부는 데이터 활용, 산업 안전, 운행 요건 등 현장 규제 애로를 '산업융합촉진 옴부즈만'을 통해 신속히 개선하고 실증·상용화 단계에서의 규제 완화도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전북·경남을 중심으로 AI 팩토리 혁신 거점을 조성한다. 전북엔 협업지능 AI 팩토리 테스트베드, 경남엔 초정밀 피지컬AI 글로벌 연구 거점을 세운다.
한편 이번 간담회에는 포스코, LG전자, 현대자동차, GS칼텍스 등 주요 기업과 구글 클라우드가 참석해 AI 제조 혁신 성과와 사례를 공유했다.
[류영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