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장창 깨져서 금이 간 유리창 같은 그림 속 여인이 손수건을 이빨로 잘근잘근 깨물며 울고 있습니다.
여인은 빨간 모자에 푸른색 브로치를 달고, 긴 머리카락을 가지런하게 빗어 넘긴 모습이지만, 그의 얼굴 한가운데는 흑백 사진처럼 모든 색이 사라지고 불안한 손가락과 치아만 강조돼 있습니다.
빨강, 파랑, 초록, 노랑의 경쾌한 색채를 갖고 있음에도 초조한 모습의 이 여인은 바로 파블로 피카소가 한때 사랑했던 여자, 도라 마르입니다.‘우는 여인’이라는 제목을 갖고 있는 이 그림이 세계적으로 유명해지면서 마르는 영원히 ‘우는 여자’로 기억되고 맙니다.
피카소는 왜 연인을 이렇게 그렸던 걸까요? ‘그림 속에 갇혀버린 뮤즈’, 마르와 피카소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피 묻은 장갑의 여인
피카소와 마르의 첫 만남은 드라마의 한 장면 같았습니다. 두 사람이 처음 만난 장소는 프랑스 파리의 예술가들이 자주 오갔던 카페 ‘레 되 마고(Les Deux Magots).’ 함께 아는 친구였던 시인 폴 엘뤼아르의 소개로 마르와 피카소는 한 테이블에 마주 앉게 되죠.당시 마르는 대담한 사진으로 앙드레 브르통, 만 레이의 인정을 받고, 초현실주의 예술가 그룹과 어울렸습니다. 금기를 탐구하며 ‘에로티즘’, ‘내적 경험’ 같은 저서를 남긴 철학자 조르주 바타유와 연애를 한 적도 있었죠.
그만한 과감함과 예술적 감각을 지녔던 그가 자기보다 훨씬 유명한 예술가 피카소를 처음으로 눈앞에서 마주한 순간.
마르는 기 싸움에서 지지 않으려는 듯 장갑을 벗고 한 손을 테이블에 올렸습니다. 그리고 작은 칼을 꺼내 손가락 사이를 내리찍는 위험한 놀이를 시작합니다.
날카로운 칼날이 마르의 희고 긴 손가락 사이를 빠르게 오고 가던 찰나. 실수로 잘못된 곳을 찌르고, 손가락에서 흐른 피가 테이블 위에 놓인 장갑을 적십니다. 피카소는 그런 마르를 지켜보다 이렇게 말했습니다.
“당신의 피 묻은 장갑, 내가 가져가고 싶어요.”
마르가 건넨 장갑을 피카소는 집으로 가져가 진열장에 간직합니다. 마르의 복잡하고 예민한 내면을 상징하는 피 묻은 장갑, 그것을 손에 넣은 피카소.이 장면은 앞으로 두 사람의 관계에서 일어나게 될 격렬한 감정, 그리고 그것을 냉정하게 자기만의 것으로 만든 피카소의 모습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나에게 도라는 우는 여자”
피카소는 마르를 뮤즈로 삼아 그림으로 남겼지만, 마르 또한 성공한 사진가로 피카소에게 최신 사진 기법을 가르쳐 줬습니다.또 마르는 초현실주의 예술가들과 함께 ‘반파시즘 선언’에 참여하며 사회 문제에도 관심을 갖고 목소리를 냈는데, 그의 이런 정치적 의식 영향으로 피카소는 스페인 내전에 관심을 갖고 대작 ‘게르니카’를 그립니다.
피카소가 ‘게르니카’를 그리는 과정을 마르는 사진으로 남겼고 이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기록이 됐습니다.
이렇게 현실에서 두 사람은 단순한 연인을 넘어 예술적으로도 교류하고 협업하는 관계였는데, 피카소는 후일 마르에 대해 이런 말을 남깁니다.
“도라는 내게 항상 ‘우는 여인’이었다. 나는 몇 년간 그녀가 고통스러워하는 모습만을 그렸는데, 내가 그런 모습에서 즐거움이나 쾌감을 느껴서가 아니다. 내 눈에 도라는 그저 ‘우는 여자’였고, 그건 외적인 모습이 아니라 깊은 내면에서 드러나는 현실이었다.”
이 말처럼 피카소는 ‘게르니카’를 그린 다음 몇 년 동안 마르를 모델로 한 초상화를 여러 점 남겼고, 그 그림 대부분에서 마르는 슬프고 고통스럽게 울부짖고 있는, ‘우는 여인’이었습니다.
사랑 앞에 냉정했던 예술가, 피카소
“‘우는 여인’은 피카소가 도라 마르의 우울한 감정에 집착한 결과물이다. 그는 마르의 고통에 깊이 감정 이입을 하면서도 그것을 이용했다.”
마르의 회고전을 연 영국의 현대미술관 테이트 모던은 ‘우는 여인’을 이렇게 설명합니다.
늘 불안하고 예민해 수시로 유리처럼 산산조각 나는 마르의 내면을 피카소는 예리하게 관찰했고, 때로는 부추기고 과장해 그림 속에서 일그러진 표정, 손수건을 잘근잘근 깨물며 울부짖는 모습으로 남긴 것이죠.
그 결과물인 ‘우는 여인’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작품이 됐습니다. 게다가 피카소는 마르를 통해 이해한 불안과 슬픔을 보편적인 감정으로도 승화했는데 그건 바로 ‘게르니카’ 속 사람들의 표정입니다. ‘게르니카’ 속 스페인 내전이라는 폭력으로 참혹한 피해를 당한 사람들의 고통스러운 얼굴은 마르의 내면에서 본 것을 여러 차원으로 변주한 것이었습니다.
흥미로운 건 피카소가 ‘우는 여인’의 도상을 ‘게르니카’에도 넣기 위해 여러 차례 시도하다 포기했다는 사실인데요. ‘우는 여인’이 뿜어내는 슬픔이 너무 강렬해 다른 인물의 감정을 압도하기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피카소가 가장 강렬하게 느낀 슬픔과 고통의 감정은 마르에게서 본 것임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피카소는 마르의 피 묻은 장갑을 가져가듯, 그녀의 감정을 집요하게 파고들어 ‘훔쳤’고, 그것을 사람들의 보편적인 감정으로 확장해 ‘게르니카’에 활용했습니다. 마르의 핏빛 장갑이 피카소의 진열장 속 기념비가 되는 순간이죠.
마르는 후일 인터뷰에서 “‘우는 여인’은 피카소가 나를 본 관점일 뿐, 도라 마르가 아니다”라고 말하는데, 이는 ‘피카소의 우는 여인’으로만 나를 기억하지 말아 달라는 항변입니다.
사랑하는 여인의 아파하는 모습을 관찰하며 표현하고, 그것을 더 발전시켜 역사적인 대작으로 만든 피카소. 그의 냉정함은 약 100년이 지나 또 다른 평가를 받고 있고, 이에 따라 ‘우는 여인’은 새로운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예술가는 누구의 눈물을 그림으로 남길 수 있는가, 혹은 타인의 고통을 어디까지 빌릴 수 있는가?’
※ ‘영감 한 스푼’은 예술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창의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계 전반의 소식을 소개하는 뉴스레터입니다. 매주 목요일 아침 7시 발행됩니다.
▶뉴스레터 구독 신청
https://www.donga.com/news/Newsletter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