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정부 첫 세제개편안 ‘尹 감세조치 원상복구’
5년간 35.6조 확보 목표…법인세만 18.5조
증권거래세 올리고 주식양도세 대상 넓혀
금융사에 부과하는 교육세, 대형사는 두배로
3년 연속 세수 부족을 겪고 있는 정부는 확보한 세금을 인공지능(AI) 등 성장동력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법인세 중심의 증세가 기업 투자 심리를 위축시켜 경제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 尹 정부 감세 정책 되돌려 세수 확보
당초 정부는 영세 기업들의 부담을 고려해 상위 구간만 법인세율을 1%포인트씩 올리는 방안도 검토했다. 하지만 무너진 세수 기반을 확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해 전 구간 1%포인트 인상안을 택했다. 경기 둔화와 세율 인하 영향으로 법인세수는 2022년 103조5704억 원에서 지난해 62조5113억 원으로 40%가량 쪼그라들었다.
2021년부터 단계적으로 인하된 증권거래세율은 유가증권시장(코스피·농어촌특별세 포함)과 코스닥 시장 모두 현재 0.15%에서 2.0%로 오른다. 박금철 기재부 세제실장은 “지난해 금융투자소득세 도입이 폐지돼 조세 형평성 차원에서 다시 올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기업 겨냥한 증세에 경기 회복 저해 우려
정부는 개편안을 발표하며 경제성장을 뒷받침할 세수 기반 확충이 불가피하다고 수차례 강조했다. 2023, 2024년 2년 연속 30조 원이 넘는 대규모 세수 결손이 발생한 데 이어 올해도 10조 원 이상의 세수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조세부담률은 2022년 22.1%에서 2024년 17.6%로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에서 기업을 겨냥한 증세 기조가 자칫 경기 회복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5년간 늘어날 세 부담의 약 65%가 대기업(16조8000억 원), 중소기업(6조5000억 원) 몫이기 때문이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상법 개정안, 노란봉투법(노조법 개정안), 법인세 인상 등이 한꺼번에 쏟아져 기업 투자 심리를 억누르면 기대보다 세수가 늘지 않을 수 있다”고 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책 기조가 급변해 조세 안정성을 해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우철 서울시립대 세무학과 교수는 “법인세율 인하를 불과 3년 만에 뒤집었다. 정책 예측 가능성이 떨어져 국내외 기업들이 한국에서 중장기 투자를 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특히 금융·보험업계는 그동안 불합리한 세금으로 꼽아 온 교육세가 오히려 인상되자 당황하는 분위기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교육세 부담을 일반 소비자에게 전가할 가능성도 작지 않다”고 우려했다.세종=주애진 기자 jaj@donga.com
강우석 기자 wskang@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