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정책실장 "조선 없었으면 관세협상 평행선 달렸을 것"

17 hours ago 5

입력2025.08.03 13:19 수정2025.08.03 13:19

사진=대통령실사진기자단

사진=대통령실사진기자단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한미 관세협상에서 ‘마스가'(MASGA)로 불리는 조선 분야 협력 카드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3일 밝혔다.

김 실장은 이날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사실 조선이 없었으면 협상이 평행선을 달렸을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한국이 그렇게 다방면에 걸쳐서 조선 쪽에 많은 연구와 제안이 돼 있다는 것을 미국은 상상 못 했을 것"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마스가 모자’ 실물을 공개하기도 했다. 김 실장은 "우리가 디자인해서 미국에 10개를 가져갔다"며 "이런 상징물을 만들 정도로 혼신의 노력을 다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수행해 스코틀랜드로 가자,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협상단이 따라갔던 게 주효했었다고 김 실장은 평가했다. 그는 "(스코틀랜드에서 열린) 미팅이 제일 실질적이었다"며 "협상이 타결될 수 있는 '랜딩존'(landing zone·착륙지)이 보였다"고 회고했다.

스코틀랜드 출장에 대해 김 실장은 "내부적으로 참 많은 격론이 있었고, 입장이 다르니까 고성도 있었고 찬반이 있었다"고 전하기도 했다.

한국 정부는 협상이 결렬될 가능성을 끝까지 염두에 뒀다고도 김 실장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 타결 직전 즉석에서 협상 조건을 변경할 가능성이 있어서다. 김 실장은 "우리가 수용할 수 없는 무리한 요구를 하면 (백악관에서) 그냥 나와야 했을 것"이라며 "어떻게 그 앞에서 내용을 고친다고 하겠나"라고 설명했다.

협상 과정에서는 정부 뿐만 아니라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등 재계 총수를 비롯한 민간의 노력도 큰 도움이 됐다고 김 실장은 전했다. 그는 "민간 라인을 통해 '대한민국은 최선의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을 충분히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