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하 선생 만난’ 문형배 “만장일치 만들어 보려고 탄핵 심판 선고 늦어져”

3 day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난달 18일 퇴임한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김장하 선생과 만난 자리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사건에 대한 심판이 오랜 시간을 소요한 이유를 밝혔다.

문 전 대행은 만장일치 결정을 도출하기 위해 시간이 걸린 것이며, 소수의견조차도 다수의견으로 통합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문 전 대행은 김 선생이 제기한 민주주의의 다수결 원리에 대한 질문에 대해 지도자가 나타날 것이라는 생각을 공유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왼쪽)과 김장하 선생. [사진 = MBC경남 뉴스 유튜브]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왼쪽)과 김장하 선생. [사진 = MBC경남 뉴스 유튜브]

지난달 18일 퇴임한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자신에게 장학금을 주며 지원한 김장하(81) 선생을 2일 경남 진주시에서 만났다.

이 자리에서 문 전 권한대행은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만장일치로 결정하기까지 역대 대통령 탄핵 사건에 견줘 오랜 시간이 걸렸던 이유를 밝혔다. “재판관끼리 이견이 있는 상태에서는 국민을 설득하기 힘들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5일 MBC 경남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영상을 보면 문 전 권한대행은 2일 김장하 선생과 만난 자리에서 “(탄핵 선고가) 오래 걸린 건 말 그대로 만장일치를 좀 만들어 보려고…. 시간이 조금 늦더라도 만장일치를 하는 게 좋겠다고 저는 개인적으로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약 몇 대 몇으로 나오면, 소수의견을 갖고 다수 의견을 공격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소수의견조차도 다수의견으로 담아내려고 조율했다”고 덧붙였다.

윤 전 대통령 탄핵 선고는 38일 만에 이뤄져 노무현 전 대통령(14일)과 박근혜 전 대통령(11일) 사건과 비교해 최장기간 평의를 기록했다.

문 전 대행은 “(탄핵 심판) 사건을 보자마자 결론이 서는 사람도 있지만, 모든 것을 다 검토해야 결론을 내는 사람도 있다”며 “그 경우에는 당연히 빠른 사람이 느린 사람을 기다려야 한다. 빠른 사람과 급한 사람들이 인내를 가질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파면 결정을 선고한 뒤 김형두 헌법재판관의 어깨를 두드리며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왼쪽)이 퇴장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사진공동취재단]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파면 결정을 선고한 뒤 김형두 헌법재판관의 어깨를 두드리며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왼쪽)이 퇴장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사진공동취재단]

문 전 대행은 김 선생이 “다수결이 민주주의 꽃이라 그러는데 요란한 소수가 조용한 다수를 지배한다. 그걸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라고 묻자 잠시 고민하더니 “지도자가 나타나지 않을까요”라고 답했다.

한편 진주에서 약 60년간 ‘남성당 한약방’을 운영하며 평생 기부와 선행을 이어온 김장하 선생 이야기는 문 전 대행과의 일화로 재조명 됐다.

문 전 권한대행은 고등학교 2학년부터 대학교 4학년까지 이른바 ‘김장하 장학생’으로 장학금을 받았다고 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