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죽게 생겼는데 학생은 무슨”…교사 4명중 1명, 정신과 상담한다

6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교사 10명 중 6명이 최근 1년 사이 이직 또는 사직을 고민했으며, 평균 교직 만족도는 5점 만점에 2.9점으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응답자 중 58.0%는 이직 고민의 주요 원인으로 교권 침해와 과도한 민원을 지적했으며, 64.9%는 교사가 사회적으로 존중받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다.

또한, 96.9%는 교육 정책이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평가하며, 교사들의 근무환경과 과중한 업무 부담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전국 교사 8254명 설문조사
“교권 침해·민원 스트레스”
4명 중 1명은 정신과 치료

서이초등학교 교사의 49재 추모일이었던 2023년 9월 4일 서울 서이초등학교에서 고인의 지인들이 교실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 = 사진공동취재단]

서이초등학교 교사의 49재 추모일이었던 2023년 9월 4일 서울 서이초등학교에서 고인의 지인들이 교실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 = 사진공동취재단]

교사 10명 중 6명이 최근 1년 사이 이직 또는 사직을 고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네 명 중 한 명은 정신과 상담이나 치료를 받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14일 교사노동조합연맹이 스승의 날을 앞두고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7일까지 전국 유·초·중·고·특수학교 교사 82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교직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9점이었다. 교직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32.7%, ‘불만족한다’는 답변은 32.3%로 나타났다. 서울 서이초등학교 교사 사망 사건이 발생했던 2023년 조사(13.2%)에 비해 오르긴 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특히 응답자의 58.0%는 최근 1년 이내 이직 또는 사직을 고민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그 이유(복수 응답)로는 ‘교권 침해 및 과도한 민원’이 77.5%로 가장 많았고, 이어 ‘낮은 급여’(57.6%)와 ‘과도한 업무’(27.2%) 순이었다.

사진설명

교사라는 직업이 사회적으로 존중받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64.9%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그렇다’는 응답은 8.9%에 불과했다. 교권 침해를 경험한 교사도 절반이 넘었다. 응답자 가운데 56.7%는 학생에게, 56.0%는 보호자로부터 교권 침해를 당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23.3%는 정신과 상담이나 치료를 받은 적이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서이초 사건을 계기로 ‘교권 5법’을 통과시키며 교권 보호 강화를 약속했지만, 정작 교사들은 현장에서 크게 달라진 점이 없다고 봤다. ‘수업 방해 학생 분리 제도가 잘 운영된다’는 응답은 13.4%, ‘민원 응대 시스템이 잘 작동한다’는 답은 14.0%에 그쳤다. 교사들의 과중한 행정업무 부담도 여전했다. 응답자의 90.9%는 ‘수업 연구보다 각종 행정업무를 우선적으로 처리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교사들은 정책 전반에 대한 불신도 강하게 드러냈다. 교사 96.9%는 ‘교육 정책에 현장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다’고 답했고, 95.8%는 ‘정책 간 일관성이 낮다’고 평가했다. 이보미 교사노조 위원장은 “교사들이 스승으로서 자긍심과 보람을 느끼기보다 열악한 교육 여건과 급변하는 교직 문화 속에 이직을 고민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현장 교사의 이탈을 막을 수 있는 정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8~12일 전국 유·초·중·고·특수학교 교사 25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교사 66.8%는 ‘현재 근무환경에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절반(50.0%)은 정당한 휴가 사용 시에도 구체적 사유 작성을 요구받았다고 밝혔다. ‘정년까지 교직을 유지하겠느냐’는 질문에는 61.5%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경제적 요인 외에도 민원 부담,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불안, 과중한 행정업무, 교권 하락 등이 주된 이유로 꼽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