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내년 국고채 발행 규모가 총 232조원으로 발표되자 시장에서는 예상치에 부합한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오지만, 발행 물량 부담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정부 예산안 발표를 전후로 국고채 시장 금리가 상승세를 이어간 만큼 발행량 소화 부담을 반영했다는 평가다.
31일 금융정보업체 KG제로인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장내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지난 29일 기준 전거래일 대비 1.1bp(1bp=0.01%포인트) 오른 2.426%에 거래를 마쳤다. 2거래일 연속 상승세로 정부 예산안 발표를 전후로 시장 경계심과 우려가 금리 상방 재료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채권 가격과 금리는 반대로 움직인다.
앞서 정부는 지난 29일 국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6년 예산안’을 심의·의결했다. 내년 국고채 발행 규모는 총 232조원으로 올해 본예산(197조 6000억원)보다 34조 4000억원 늘어난 규모다.
우선 시장에서는 예상치에 부합했다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한 국내 채권 운용역은 “예산안 공개에 앞서 230조원 수준의 발행량이 어느 정도 컨센서스로 잡혀 있었다”면서 “예상치에 부합한 수준이라 불확실성 해소 차원의 재료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했다. 해외 해지펀드 관계자도 “예상치에 부합한 수준이라 별 영향은 없었던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올해에 이어 수급 부담이 지속된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다는 견해도 제기된다. 또 다른 국내 운용역은 “결국은 공급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면서 “올해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합친 것과 비슷한 수준인데 이게 지금도 시장 금리 하방을 막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내년에도 확신하긴 어려우나 재차 추경이 있을 확률이 높은데 거기에 또 10조원, 20조원이 추가된다면 수급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면서 “사실 올해 9~12월, 넉달이 남았는데 한 번도 이렇게 발행 예정액이 많이 남은 적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한편에서는 이번 예산안 발표에 따른 내년도 발행 부담이 금리의 하방 경직성을 키울 것이란 전망도 꾸준하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재정으로 인한 금리 급등 가능성은 사라졌으나 수급환경을 감안하면 금리 하방 경직성이 강화됐다”면서 “증가할 공급 물량의 소화는 가능하나 기대하고 있는 수요 측면이 과연 강력할지는 의문”이라고 했다.
결국 시장 금리 안정을 위한 기획재정부의 정교한 만기별 발행 비중 조율 필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위원은 “기재부는 6월부터 금리 상승에 대비해 단기물 발행 비중을 높이고 있으며 초장기물 발행 비중을 축소하다가 시장 수급 부담을 인지하고 9월 들어 10년 발행규모를 확대했다”면서 “향후 수요에 맞춰 초장기물 발행 비중을 확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사진=뉴시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