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기계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감지장치가 고위험 기종으로 확대된다.
농촌진흥청은 과수 고소작업차, 방제기, 농업용 운반차를 대상으로 IoT 감지장치 현장 조사를 마치고 내년부터 보급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적용하는 장치는 사고 충격과 기울기, 위치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이상 징후 발생 후 20초간 무응답이 이어지면 사전 등록된 보호자나 농업기술센터로 자동 알림이 전송된다. 일부 지역은 소방본부 119 종합상황실과 연계해 사고 초기 대응 체계를 강화했다.
현재 전남 나주, 강원 홍천·횡성 등 9개 시군에서 432대 트랙터에 감지장치가 부착돼 운용 중이다. 사고 다발 지역을 중심으로 도로변 경고 표지판을 추가 설치해 농업기계 접근을 알리고 차량 감속을 유도하는 체계도 마련했다.
농업기계 사고는 초동 대응이 지연될 경우 피해가 커질 수 있다. 감지장치는 사고 직후 충격이나 이상 움직임을 포착해 즉시 알림을 전송, 구조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다. 고령 운전자가 많은 농촌 지역 특성상 사고 인지 지연과 구조 요청 어려움을 보완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농진청은 앞서 2023년까지 트랙터를 중심으로 감지장치 시범사업을 추진해 예방 효과를 검증했다. 일부 지역에는 국비를 지원해 시스템을 도입했고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도로변 경고 표지판과 연계한 차량 감속 유도 체계도 구축했다. 이후 지방비와 지자체 주도로 사업이 확대됐으며 올해부터 고위험 기종으로 적용 대상을 넓히는 단계에 들어섰다.
특히 고소작업차는 고지대 작업 특성상 운전자 추락 사고 위험이 높고, 농업용 운반차는 경사로 운행 시 기울어짐에 따른 전복 가능성이 크다. 농진청은 사고 유형과 발생 빈도를 분석해 기종별 최적화 방안을 마련 중이다.
현장 조사를 통해 고위험 기종별 사고 위험도를 분석하는 동시에 감지장치 성능 검증도 진행하고 있다. 수집된 데이터는 사고 대응 매뉴얼 작성과 기술 고도화 작업에 활용할 예정이다. 내년부터는 안전성이 입증된 기종을 중심으로 보급을 추진하고 지자체별 예산 확보를 지원해 농업기계 사고 대응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확장할 방침이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농업기계 사고는 한 번 발생하면 인명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IoT 기반 감지장치 기술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다양한 기종으로 확대해 농업인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