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청소년 10명 중 6명 대학 진학…월평균 소득 300~400만원

3 days ago 1

다문화가족 자녀 대학 진학률 61.9%…일반 국민과 격차 절반 이하로 줄어
소득·주거 안정성 향상…차별 경험은 줄고 자녀 양육환경도 개선세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해 국내 다문화 청소년 10명 중 6명이 대학에 진학했다.

31일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24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가족 자녀의 대학 등 고등교육기관 순취학률은 61.9%로, 2021년(40.5%)보다 21.4%포인트 상승했다.

사진설명

이에 따라 일반 국민과 고등교육 취학률 격차도 2021년 31.0%포인트에서 2024년 13.0%포인트로 좁혀졌다.

이는 2000년대 초중반 출생한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정부의 정책과 지원제도 확대 효과를 본격적으로 체감하는 시기와 맞물린 결과라고 여가부는 분석했다.

연합뉴스 일러스트

연합뉴스 일러스트

이재웅 여가부 다문화가족과장은 브리핑에서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됐고 가족센터 221곳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14곳 등 관련 기관도 235곳까지 늘었다”며 “찾아가는 교육 사업과 언어 발달 지원 사업, 이중언어 사업 지원 등 각종 교육 프로그램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다문화가족 자녀 가운데 4년제 이상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비율은 71.6%로, 2021년(60.7%)보다 증가했다.

사진설명

가계소득 300만원 이상 가구, 첫 65% 돌파

다문화 가구의 소득 수준도 향상됐다. 조사에 따르면 작년 다문화 가구의 66%는 월평균 300만원 이상의 소득을 올렸고, 자가 형태로 거주하는 비율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경제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집계됐다.

월평균 소득 300만원 이상인 가구 비율은 65.8%로, 2021년(50.8%)에 비해 15.0%포인트 증가하며,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300만∼400만원 구간이 가장 많은 소득 구간으로 집계됐다.

월평균 소득 300만원 이상 가구 비율

월평균 소득 300만원 이상 가구 비율

다만, 근로 직종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단순노무직의 비율은 32.4%에서 39.0%로 증가했다.

주택 점유 형태에서는 자가 비율이 56.2%로 가장 높았고, 보증금 있는 월세(20.2%)와 전세(19.3%)가 뒤를 이었다.

자가 비율은 이전 조사보다 소폭 올랐고 월세 비율은 소폭 줄었다.

한국에서 15년 이상 거주자는 52.6%로 2021년 보다 12.7%포인트 상승했다.

양육환경 개선됐지만 차별 경험은 여전

다문화 가구의 가정생활과 자녀 양육환경도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5세 이하 자녀 양육 시 어려움을 느끼는 비율은 72.7%로 2021년보다 1.0%포인트 감소했다. 6∼24세 자녀 양육 시 어려움을 느끼는 비율도 78.2%로 2021년보다 9.9%포인트 줄었다.

양육에서 가장 큰 어려움의 경우 5세 이하 자녀는 긴급돌봄(24.6%), 6∼24세 자녀는 경제적 비용 부담(24.9%)이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혼이나 별거 후에 정기적으로 양육비를 수령하는 비율은 23.8%, 비양육자 중 자녀와 정기적으로 만나는 비율은 36.0%에 그쳤다.

다문화 가구의 차별 경험은 13.0%로 2021년(16.3%)보다 감소했다.

차별을 겪었을 때 80.7%가 ‘참는다’고 응답했다.

다문화가족 자녀가 지난 1년간 겪은 차별 경험은 4.7%로, 이전 조사(2.1%)보다 두 배 이상 불어났다.

이밖에 다문화 가구당 평균 자녀 수 0.92명, 자녀 평균 연령 12.1세로 집계됐다.

한편 1만6014가구를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는 다문화가족의 생활과 자녀교육, 사회생활, 경제활동을 진단하고자 3년마다 실시하는 국가 승인 통계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