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中企 경영 악화에…R&D 지원금 5년간 274억 회수 못해

3 hours ago 2
#중소기업 A 사는 전자투표 시스템 개발 과제로 2021년 중소기업 연구개발(R&D) 지원금 4억 원을 받았으나 이후 휴·폐업 절차를 밟으며 4년 동안 지원금을 국가에 미납 중이다.

#중소기업 B 사는 고령자 인지장애 분석 시스템 개발 과제로 R&D 지원금 3억 원을 받았으나 현재 휴폐업 절차로 지원금 반환 가능성이 불투명하다.


정부가 중소기업의 국가연구개발과제 지원을 위해 지급하는 R&D 지원금이 최근 5년 간 270억 원 넘게 회수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 종료 후 남은 금액은 국고로 반환돼야 하지만 매년 수십 억 원이 회수되지 못해 미납금으로 남는 것이다. 경기 악화 등으로 인해 중소기업들이 파산하거나 휴·폐업한 여파로 풀이된다. 야당은 연구 지원금 지급 시 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잠자고 있는 중소기업 R&D 미납금 5년간 274억

2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철규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정원)으로부터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기정원은 지난 5년간 689개 사업에 R&D 지원금으로 총 1711억 원을 투자했다. 기정원은 중기부 산하 전문기관으로 중소기업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지원한다.

문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이 끝나면 기정원은 중소기업들로부터 집행 잔액 등을 돌려받아 국고에 반환해야 하는데 회수율이 2.8% 수준에 그친다는 것이다. 이 의원에 따르면 5년간 지원한 689개 사업을 대상으로 총 282억 원의 정산금이 발생했으나 이 중 8억 원만 회수됐다. 반면 기정원이 회수하지 못한 연구개발비 및 기술료는 총 274억 원에 달한다.

연도별로 기정원이 회수하지 못한 연구개발비 및 기술료는 2021년 약 39억 원(64건), 2022년 69억 원(175건), 2023년 약 11억 원(61건), 2024년 약 55억 원(165건), 2025년 9월 기준 약 97억 원(224건)이었다. ● 미납 건수의 90%가 경영악화 여파

이처럼 중소기업들이 정부에 R&D 지원금을 반납하지 못하는 데는 경영악화의 여파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 의원에 따르면 5년간 중소기업들의 납부 지체 사유로는 휴폐업·파산·청산 366건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후 경영악화 255건, 기업회생 15건, 단순미납 등 기타 사유 53건 등이었다.

기정원은 현행법에 따라 최장 5년 내에 현실적으로 강제 징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채무를 면제할 수 있다. 이에 지난 5년간 발생한 수백 억 원 대의 미납금이 면제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철규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2025.09.25 뉴시스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철규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2025.09.25 뉴시스

이 의원은 “중소기업의 혁신 성장을 위해 유망 기업 지원이 필요하나, 폐업, 부도, 경영악화 와 같은 사유로 과제가 끝난 후 남은 금액 등 연구비의 정산금 미납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며 “미납금 최소화를 위해 연구비 지급 시 교육을 의무화하고 수행 과정 모니터링 등 관리 체계를 더욱 강화하여 매몰 비용 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동아일보 단독 >

이런 구독물도 추천합니다!

  • 카를로스 고리토 한국 블로그

    카를로스 고리토 한국 블로그

  • 정덕현의 그 영화 이 대사

    정덕현의 그 영화 이 대사

  • 광화문에서

    광화문에서

이채완 기자 chaewani@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