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탐사선으로 변신한 일상 용품…설치미술가 톰 삭스의 ‘우주 임무’ [아트마켓 사용설명서]

1 week ago 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설치미술가 톰 삭스의 대형 설치 작품 ‘루나 익스커션 모듈(LEM)’이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전시되고 있으며, 이를 포함한 그의 ‘스페이스 프로그램: 무한대’ 연작이 공개된다.

전시에는 NASA의 관제센터를 모티브로 한 퍼포먼스 설치 작품과 관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가 포함돼 있다.

삭스는 이번 전시를 통해 인류의 우주 탐사에 대한 경외심과 자원을 더 잘 활용하기 위한 새로운 세계 탐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현대카드 컬처프로젝트 展
美 작가 톰 삭스 개인전 개최
‘스페이스 프로그램: 무한대’
연작 200여점 한 자리에 펼쳐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뮤지엄

미국 항공우주국(NASA) 달 탐사 임무 ‘아폴로’의 달 착륙선 모형을 실물 크기로 만든 톰 삭스의 대형 설치 작품인 ‘Lunar Excursion Module(LEM)’(2007). 송경은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달 탐사 임무 ‘아폴로’의 달 착륙선 모형을 실물 크기로 만든 톰 삭스의 대형 설치 작품인 ‘Lunar Excursion Module(LEM)’(2007). 송경은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달 착륙선과 꼭 닮은, 높이 7m의 거대한 우주선이 서울에 착륙했다. 이 모형은 엔지니어나 과학자가 만든 기계가 아니다. 미국의 세계적인 설치미술가 톰 삭스가 가상의 우주 임무를 통해 제작한 대형 설치 작품 ‘루나 익스커션 모듈(LEM)’(2007)이다. NASA ‘아폴로 11호’의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은 1969년 인류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했다. 삭스는 “인류가 달에 간 것은 20세기 최고의 예술 프로젝트였다”고 말한다.

‘LEM’을 비롯한 그의 ‘스페이스 프로그램: 무한대(Infinity)’ 연작은 인류가 발전시킨 과학기술과 우주 탐사를 향한 경외심이자 끝없이 새로운 세계를 탐험하고자 하는 열정을 의미한다. 톰 삭스는 일상에서 흔히 쓰는 물건들을 재료로 NASA의 우주 임무를 재치 있게 재구성하면서 인류가 가진 독창성과 욕망을 조명하는 한편, 상품의 생산·소비 같은 추상적 개념에 질문을 던진다. 그는 과시욕과 소비 경쟁을 불러 일으키는 ‘나이키’ ‘프라다’ 등 글로벌 브랜드 출신 디자이너들과 협업해 실험실 가운, 우주 부츠 같은 실용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아이템을 만들면서 오늘날 방탕한 소비에 대한 성찰을 불러 일으킨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