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공대생 피아니스트 스미노 하야토 “한국은 다른 나라와 달라요”

4 weeks ago 4

공대 대학원 다니면서 쇼팽 콩쿠르 활약
오는 28일 서울, 31일 부산 공연
자작곡과 스크랴빈, 스트라빈스키 연주
"곡 연구와 창작은 서로 영향 줘"

“한국은 제게 특별한 영감을 주는 곳이에요. 한국만의 독특한 분위기와 문화를 접할 때면 늘 새로운 자극을 받습니다.”

피아니스트 스미노 하야토. ⓒ Clemens Ascher

피아니스트 스미노 하야토. ⓒ Clemens Ascher

일본 도쿄대 공대생 출신 피아니스트로 활약하고 있는 스미노 하야토는 서면으로 진행한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스미노는 재작년과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한국을 찾는다. 오는 28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31일 부산콘서트홀에서 각각 리사이틀을 연다.

스미노는 온라인에서 특히 유명한 피아니스트다. 그는 유튜브 채널인 ‘캐틴’을 운영하면서 구독자 약 150만명을 보유하고 있는 인플루언서다. 피아노를 전문적으로 배우지 않았던 이력도 특이하다. 그는 입시 명문으로 알려진 카이세이 중·고등학교를 거쳐 도쿄대 계수공학과를 졸업한 공대생이다. 대학 졸업 후인 2018년부턴 대학원에서 창조정보학을 배우는 동시에 피아니스트로 활동했다. 2021년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3라운드까지 오르며 전공자와 겨루기도 했다. 지난해엔 소니 클래시컬을 통해 첫 정규 앨범인 ‘휴먼 유니버스’도 냈다.

피아니스트 스미노 하야토. ⓒ Ryuya Amao

피아니스트 스미노 하야토. ⓒ Ryuya Amao

이번 내한 공연은 서울과 부산에서 연주하는 레퍼토리가 같다. 스미노는 동유럽 거장들의 곡들뿐 아니라 자신이 작곡한 작품도 함께 선보인다. 리스트가 편곡한 생상스의 ‘죽음의 무도’로 공연의 막을 연다. 이어 쇼팽의 연습곡에서 착안해 자신만의 현대적인 감각을 담아낸 곡인 ‘태동’, 한국의 겨울 풍경을 서늘하면서도 차가운 음감으로 표현한 ‘야상곡 Ⅰ’, 고뇌와 희망을 함께 표현한 피아노 소나타 ‘주명곡’ 등 자작곡 3곡을 연주한다. 1부 마지막으론 스크랴빈의 피아노 소나타 5번, 스트라빈스키 ‘불새’를 들려준다.

2부에선 번스타인의 ‘캉디드’ 서곡으로 시작해 라틴 특유의 리듬감이 넘치는 히나스테라의 피아노 소나타 1번을 연주한다. 피날레는 거슈인의 ‘파리의 미국인’을 연주해 재즈와 클래식 음악의 경계를 넘나든다. 이 레퍼토리는 서울 공연과 부산 공연이 같다. 스미노는 앞서 진행한 일본 투어에서 24회 공연 모두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인기를 입증했다. 영국 BBC 필하모닉과 베이징 음악제에서 프로코피예프 피아노 협주곡 3번을 선보이는 공연과, 뉴욕 카네기홀, 빈 콘체르트하우스 등에서의 리사이틀도 앞두고 있다.

피아니스트 스미노 하야토. ⓒ ogata

피아니스트 스미노 하야토. ⓒ ogata

레퍼토리에 대해 스미노는 “제 음악적 관심과 방향성을 잘 보여주는 작품들로 프로그램을 짰다”며 “특히 20세기 이후 음악에 큰 흥미를 두고 있어서 스크랴빈, 거슈윈처럼 리듬감이 강하고 장르의 경계가 유연한 작품들을 중심에 뒀다”고 말했다. 특히 스크랴빈의 피아노 소나타 5번에 대해선 “낭만주의에서 신비주의로 넘어가던 시기의 대표작으로 복잡한 화성과 비조성적인 구조가 인상 깊어 프로그램에 이 곡을 넣게 됐다”고 설명했다.

작곡가와 연주자로서의 자신의 모습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스미노는 “창작자로서의 자아와 해석자로서의 자아가 서로 깊이 연결돼 있다고 생각한다”며 “곡을 배우고 연구하는 과정은 창작에 영감을 주고, 동시에 작품을 쓰는 경험은 클래식 래퍼토리를 해석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준다”고 했다. “이 두 정체성은 서로를 보완하며 교감합니다. 전 클래식 음악 안에서도 충분히 창의적일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어요. 우리가 존경하는 위대한 작곡가들 역시 끊임없이 새로운 걸 창조했던 사람들이잖아요. 저 역시 그들과 같은 마음으로 무대 위에서 새로움을 표현하려 합니다.”

도쿄 공대생 피아니스트 스미노 하야토 “한국은 다른 나라와 달라요”

한국에 대한 애정도 드러냈다. 스미노는 “지난해와 재작년 내한 공연에서도 자작곡 태동을 연주했다”며 “한국 관객분들이 이 곡을 많이 사랑해주셔서 자연스럽게 이번에도 다시 연주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국에 올 때면 신선한 자극도 받는다고. “한국의 관객분들은 매우 열정적이에요. 또 다른 나라에 비해 (관객분들의) 연령대가 낮아 생동감 있는 에너지를 받게 돼요. 특히 제 자작곡을 유독 많이 사랑해주시는 점도 인상 깊어요. 이런 점은 제 창작 의욕을 자극하면서 새로운 영감으로 이어지곤 합니다.”

이주현 기자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