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드보르작의 ‘스타바트 마테르’에는 기쁨과 희망, 슬픔이 다층적인 화음으로 녹아 있습니다. 슬픔을 모티프로 삼았지만, 결국은 삶의 희망을 노래하는 드보르작의 마음을 합창의 감동으로 느낄 수 있을 겁니다.”(테너 조정빈)
![]() |
국립합창단 정기공연에서 첫 솔리스트로 나서는 테너 조정빈(왼쪽부터), 소프라노 박준원, 알토 유송이, 베이스 유지훈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김태형 기자). |
국립합창단 단원인 박준원(소프라노), 유송이(알토), 조정빈(테너), 유지훈(베이스)이 정기연주회에서 솔리스트로 무대에 선다. 오는 16일 서울 송파구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리는 제203회 정기공연 ‘스타바트 마테르’(Stabat Mater)가 그 무대다. 국립합창단은 그동안 외부 성악가를 솔리스트로 초청해 공연을 꾸려왔으나, 단원이 솔리스트로 나서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사내 오디션을 통해 선발됐다. 약 50여 명의 단원 가운데 뽑힌 ‘에이스’들인 셈이다. 최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N스튜디오에서 만난 유지훈은 “이처럼 큰 규모의 작품에서 단원들이 솔로로 무대에 서는 건 처음이라 책임감을 느낀다”며 “실력이 가장 뛰어나서라기보다는, 이 작품에 가장 잘 어울린다고 판단돼 선정된 것”이라고 겸손하게 말했다.
안토닌 드보르작(1841~1904)의 ‘스타바트 마테르’는 성서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대규모 종교음악 작품이다. 드보르작은 1876~1877년에 이 곡을 완성했는데, 불과 2년 사이 세 자녀를 잃는 비극적 경험이 작품의 정서에 깊게 스며들었다. 성모 마리아가 십자가에 달린 아들을 바라보며 느낀 슬픔을 토대로 하지만, 음악은 결국 죽음을 넘어 부활로 이어지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한다. 오늘날까지도 드보르작의 대표작으로 꼽히며 전 세계 무대에서 사랑받고 있다.
작품은 총 10악장으로 구성된다. 첫 악장의 장중한 서주에서부터 마지막 10악장의 평화로운 귀결에 이르기까지 비애와 희망이 교차하는 서사를 음악적으로 구현한다. 웅장한 합창과 섬세한 독창, 그리고 드보르작 특유의 서정적인 선율은 ‘낭만주의 성음악’의 진수를 보여준다.
박준원은 “연주 시간이 1시간 20분에 달하는 데다 단조로 느리게 진행돼 자칫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며 “오디션에 합격한 뒤 최대한 음악을 많이 들으며 곡을 해석하려 노력했다”고 말했다. 이어 “첫 악장과 마지막 악장이 ‘수미쌍관’을 이루는 느낌이다. 비애가 차곡차곡 쌓이다가 마지막에 낙원의 기쁨으로 승화하듯 또 다른 세계가 열리는 전환을 보여준다”면서 “드보르작이 치밀한 구조와 화성 속에 개인적 감정을 담아냈다는 점에서 천재성이 드러난다”고 덧붙였다.
유지훈은 “이 곡은 드보르작이 생전에 국제적 명성을 얻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된 작품”이라며 “수십 명의 성악가가 한꺼번에 힘껏 목소리를 낼 때의 장관은 물론, 소리가 잦아드는 순간에는 소름이 돋을 만큼 고전음악의 매력을 느낄 수 있다”고 강조했다.
![]() |
테너 조정빈(왼쪽부터), 소프라노 박준원, 알토 유송이, 베이스 유지훈(사진=김태형 기자). |
팀의 막내인 조정빈은 합창단에 입단한 뒤 첫 오디션에서 곧바로 솔리스트로 발탁되는 영예를 안았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성악과를 졸업한 그는 “학창시절 이 곡을 접한 적이 있는데, 테너가 내기 어려운 고음이 많다. 특히 고음을 여리게 내면서 길게 이어가는 부분이 쉽지 않다”면서 “프로로 무대에 서는 만큼 성숙한 모습을 보여주고 싶다”고 각오를 밝혔다.
알토 파트에는 유일하게 아리아(독창곡)가 포함돼 있다. 유송이는 “합창단에 입단한 지 15년 만에 처음 도전하는 곡”이라며 “약 5분 30초 동안 이어지는 아리아는 호흡 조절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더 이상 고통스럽지 않게 보호해 달라’는 곡의 정서를 잘 드러낼 수 있도록 표현에 힘쓰고 있다”고 부연했다.
‘스타바트 마테르’는 대규모 편성이 필요한 만큼 국내에서 쉽게 접하기 어려운 작품이다. 국립합창단은 2007년 로베르트 리히터의 지휘로 이 곡을 무대에 올린 뒤 18년 만에 다시 선보인다. 유지훈은 “종교적 의미를 넘어 인생의 희로애락을 담은 작품”이라며 “장엄한 합창이 전하는 깊은 감동을 함께 느껴보길 바란다”고 전했다.
![]() |
국립합창단 정기공연에서 첫 솔리스트로 나서는 알토 유송이(왼쪽부터), 베이스 유지훈, 테너 조정빈, 소프라노 박준원이 연습을 하고 있다(사진=김태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