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맛 제대로 보면 나이는 상관없죠”…우울증 극복한 시니어 교사의 삶

7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김옥련 시니어 티처(71)는 디지털 조력자로서 시니어들에게 스마트폰 사용법을 교육하며 새로운 인생 2막을 열었다.

그는 "디지털을 잘 다루면 삶의 만족도가 높아진다"며 소통과 금융사기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개인 블로그를 통해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김 티처는 시니어들이 교육을 통해 자신감을 얻고 가족과의 관계도 개선됐다는 사례를 보며 보람을 느끼고 있으며, 책임감을 가지고 앞으로도 디지털 전도사로 활동할 계획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카카오 ‘시니어 디지털 스쿨’ 인기 강사…71세 김옥련 씨

60대 찾아온 우울증 이기려
디지털 강사 양성과정 도전

택시 호출·인증서 발급부터
보이스피싱 예방 교육까지
노인 디지털 문맹 해소 앞장

최고령 카카오 시니어티처로 활동 중인 김옥련 씨(71)가  지난 9일 경기 김포노인종합복지관에서 매일경제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카카오

최고령 카카오 시니어티처로 활동 중인 김옥련 씨(71)가 지난 9일 경기 김포노인종합복지관에서 매일경제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카카오

“집에서 쓸쓸히 계시던 시니어들이 ‘디지털 맛’을 본 뒤론 인생이 달라졌다고 얘기하죠.”

60여 년을 현모양처로서 살다가 최근 디지털 선생님으로 인생 2막을 연 인물이 있다. 시니어의 디지털 문맹 해소를 위해 스마트폰을 활용한 다양한 기능을 소개해주는 김옥련 시니어 티처(71)가 그 주인공이다.

현재 그는 카카오·카카오임팩트가 한국종합노인복지관협회·시니어금융교육협의회와 손잡고 시니어를 위한 디지털 교육을 해주는 ‘찾아가는 시니어 디지털 스쿨’의 최고령 강사로 활약하고 있다. 전국 150개 복지관에서 스마트폰을 통한 송금·선물하기, 택시 호출, 인증서 발급 등 다양한 디지털 기능을 시니어에게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고 있다.

김 티처는 경기 김포시노인종합복지관에서 최근 매일경제와 만나 “스마트폰이 대중화된 시대에 시니어도 디지털과 친해져야만 인생에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며 “디지털을 잘 다루게 되면 금융사기 예방, 가족과의 활발한 소통을 통해 삶의 만족도도 높아진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 카카오페이가 진행한 시니어 금융 교육의 강사를 역임하기도 한 베테랑이다. 70대임에도 교육 시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렷한 발성과 질문을 통해 자연스럽게 수업 참여를 유도하는 교수법으로 많은 시니어 수강생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처음부터 그가 화려하게 수강생 앞에 선 건 아니었다. 김 티처는 50대에 접어들기까지 전업주부로서 현모양처를 모델로 삼고 가사에 충실해 온 사람이다. 하지만 그는 “환갑이 넘은 후 우울증을 느꼈다. 무슨 일이라도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서울시50플러스센터의 강사 양성 과정에 지원해 중장년 상담가로 활동하면서 시니어의 애로 사항을 들어주는 역할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고 밝혔다.

최고령 카카오 시니어 티처로 활동 중인 김옥련 씨(71)가  지난 9일 경기 김포시노인종합복지관에서 시니어 디지털 강의를 하고 있다. 사진=카카오

최고령 카카오 시니어 티처로 활동 중인 김옥련 씨(71)가 지난 9일 경기 김포시노인종합복지관에서 시니어 디지털 강의를 하고 있다. 사진=카카오

상담가로 활동하던 김 티처는 자연스레 시니어들이 디지털과 친해지고 싶지만 계기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도 파악했다. 인생 1막 직장에서 은퇴한 시니어들이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배움의 즐거움을 갈망한다는 것도 깨달았다.

김 티처는 “인공지능(AI) 시대다. 디지털도 고도화된다”며 “배움의 기회만 제공해드릴 수 있다면 시니어도 스마트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온라인으로도 블로그를 통해 강의 내용을 올려 시니어와 소통하고 있다.

디지털 교육을 받은 후 변하는 시니어들의 모습을 보면서 그는 보람을 느낀다. 특히 보이스피싱 등 시니어를 노린 금융사기에 잘 대처할 수 있게 돼 기쁨을 느끼는 이들이 많다고 한다. 김 티처는 ‘삼고(三考) 원칙’을 강조한다. 항상 의심하고, 전화를 끊고, 확인하라는 것이다.

그는 “실제로 카드 배송을 가장한 사기 사례가 있었는데, 카드사에 확인한 후 피해를 예방한 적이 있었다”며 “교육 후 ‘이제 사기 안 당한다’며 자신감을 얻는 분들이 많다”고 웃어 보였다.

카카오톡을 통해 손주·자녀에게 선물을 보내는 법을 알게 된 시니어들이 “가족관계가 좋아졌다”고 기뻐하기도 한다. 똑똑해진 시니어들은 이제 신세대처럼 식사 후 더치페이를 즐기기도 하고, 애플리케이션으로 택시도 편하게 잡는다.

김 티처에게 인생 2막은 끝이 없다. 체력이 허락하는 때까지 디지털 전도사로 일할 예정이다. 그는 “나는 아직도 젊다고 생각한다. 책임감을 가지고 계속 일하겠다”며 웃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