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또 1등 돼도 강남에선 전세살이"…더 멀어지는 내 집 마련

3 weeks ago 21

서울 남산에서 바라면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서울 남산에서 바라면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가격이 상승을 거듭하면서 전용면적 59㎡ 소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10억원을 넘어섰다. 강남 소형 아파트는 20억원대를 기록했다.

13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9월 말 기준 서울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0억5006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9억7266만원에서 8% 오른 액수다.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구가 20억8706만원을 기록, 16.7%로 가장 가파르게 올랐다. 이어 마포구(15.9%), 송파구(15.8%), 강동구(13.9%), 성동구(13.7%), 광진구(11.0%) 등 '한강벨트'가 뒤를 이었다.

강남구 내에서도 개포동 평균 매매가격은 전년 20억5302만원에서 22.8% 오른 25억2137만원을 기록했다. 삼성동은 17억4944만원에서 20억6220만원으로 17.9%, 역삼동도 19억5859만원에서 22억8224만원으로 16.5% 오르는 등 대치·압구정과 함께 고가 아파트 단지가 밀집한 5개 동이 평균 20억원을 넘었다.

마포구(11억9708만원→13억8788만원)도 용강동이 13억9316만원에서 17억90만원으로 22.1% 오르며 상승을 주도했다. 송파구 역시 잠실동과 신천동 주요 단지들이 거래되며 전용 59㎡ 평균 매매가격이 13억1720만원에서 15억2588만원으로 뛰었다.

이에 반해 서울 외곽 지역은 상승률이 한 자릿수대에 그치거나 하락했다. 도봉구는 전용 59㎡ 평균 매매가격 5억3974만원에서 5억4894만원으로 1.7% 오르는 데 그쳤고, 중랑구도 5억8545만원에서 5억8722만원으로 0.3% 변동에 불과했다.

금천구는 저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늘어나면서 6억2020만원에서 6억913만원으로 1.8% 하락했다. 종로구 역시 12억555만원에서 11억3978만원으로 5.5% 주저앉았다.

서울 전용 59㎡ 아파트 매매가격은 △2023년 9억419만원 △2024년 9억7266만원(7.6%) △2025년 10억5006만원(8%) 등 점차 상승 폭을 키우고 있다. 이에 반해 전용 84㎡는 △2023년 11억6597만원 △2024년 12억7591만원 △2025년 13억8086만원으로 상승 폭이 둔화하는 모양새다.

이는 강화된 대출 규제와 1~2인 가구 증가, 가격 상승으로 인한 자금 부담 등 영향으로 3인 가구와 젊은 세대가 전용 59㎡를 현실적인 대안 평형으로 삼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수요에 대응해 신축 59㎡가 공간효율성을 높인 부분도 주요한 이유로 지목된다.

직방 김은선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두 면적 모두 환금성과 선호도가 높지만, 최근 자금 여건과 가구 구조 변화 등으로 인해 전용 59㎡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시장을 실수요가 주도하는 가운데 투자 수요도 당분간은 환금성이 높고 거래가 활발한 면적을 중심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