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숏폼 개편 후 첫 장애
오후 3시 45분 장애, 오후 5시 5분 복구 완료
카카오가 서비스 개편에서 숏폼(짧은 영상) 콘텐츠를 무차별하게 노출하는 기능을 넣어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서비스 장애가 생겼다 한시간여 만에 복구됐다.
1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카카오톡 숏폼 장애 보고서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45분쯤부터 카카오톡 숏폼 송출에서 장애가 빚어졌다.
다른 카카오 서비스에는 장애가 일어나지 않았고 숏폼 시청에서만 ‘연결이 원활하지 않다’는 메시지가 떴다. 이번 장애는 1시간 20분 뒤인 오후 5시 5분에야 복구됐다.
카카오는 이용자들에게 오후 4시 40분 장애 사실을 고지했으며, 서비스 장애가 30분 이상 지속될 경우 이를 인지한 시점부터 10분 이내에 장애 사실을 당국에 신고해야 하는 규정은 어기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황 의원은 “지난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카카오가 서비스 개편을 되돌리는 ‘롤백’이 불가능하다고 밝혀 논란을 일으켰는데, 졸속 서비스를 만드느라 기본도 지키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한편 지난 14일 국감 현장에서는 카카오가 “카카오톡을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혔는데, 일부 이용자들이 직접 구버전 복원 인증을 올려 논란이 커지기도 했다. 국감장에서는 ‘기술적 한계’라는 해명이 나왔지만,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직접 돌렸는데 왜 회사는 못 하느냐”는 불만이 확산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