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특사에 박용만 카드 꺼낸 이 대통령…“모든 문제 한미동맹 우선”

1 day ago 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17일 한미동맹을 최우선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밝히며 김종인 전 위원장과의 비공식 만남에서 미국에 유화적인 메시지를 전했다.

대미 특사로 박용만 전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임명하기로 결정하며, 이는 한미 재계 간 네트워크를 중시한 결과로 보인다.

김 전 위원장은 이 대통령에게 경제 문제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며, 이 대통령은 해결을 위한 지원을 요청했다고 전해진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朴, 李대통령과 오랜 친분
한준호·김우영 의원도 동행

특사 제외 김종인과는 오찬
金 “친중 오해 풀어야” 조언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4차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7.17 [대통령실 제공]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4차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7.17 [대통령실 제공]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한미동맹과 한미관계를 최우선으로 삼아 모든 문제를 다루겠다”며 미국 백악관을 향해 유화 메시지를 발신했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비공개 만남에서 나눈 대화를 대통령실이 먼저 공개한 것이다. 미국과 통상 협상이 난항에 빠진 가운데 미국 조야에 남아 있는 ‘친중’ 의구심을 불식하려는 의도적 공개로 풀이된다.

이날 김 전 위원장은 이 대통령에게 “미국에서 친중이라고 오해하는 사람이 꽤 존재하기 때문에 유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고 한다. 그러자 이 대통령은 “한미동맹이 최우선”이라며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대화 내용은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브리핑에서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17일 대미특사단 단장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지낸 박용만 전 두산그룹 회장을 지명했다고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2025.7.17 [사진 = 뉴스1 DB]

이재명 대통령은 17일 대미특사단 단장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지낸 박용만 전 두산그룹 회장을 지명했다고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2025.7.17 [사진 = 뉴스1 DB]

이날 우 수석은 “박용만 전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에게 미국 특사단장 역할을 해달라고 하니 흔쾌히 맡아주셨다”고 말했다. 애초 내정설이 돌았던 김 전 위원장 대신 박 전 회장을 미국 특사로 파견하기로 확정한 데는 한미 재계 간 네트워크를 감안했다는 점도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오랫동안 박 전 회장과 교류하며 재계 의견을 경청해왔다. 박 전 회장은 2022년 대선 때 이 대통령을 도왔다. 당시 두 사람은 ‘만문명답(晩問明答)’이라는 대담을 진행한 바 있다. 이후 박 전 회장은 이 대통령과 재계 사이에 적극적으로 다리를 놔줬다고 한다.

친이재명(친명)계 핵심으로 불리는 한준호·김우영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이날 대미 특사로 나란히 임명됐다. 한 의원은 20대 대선에서 후보 수행실장을 맡으며 이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했다. 김 의원은 이 대통령이 민주당 대표를 지냈을 때 정무조정실장을 맡았던 측근이다.

이날 이 대통령은 특사단에서 빠지게 된 김 전 위원장과 1시간30분에 걸쳐 점심을 함께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언주 민주당 의원과 갈등이 외부에 노출되며 특사 교체론이 제기되자 언론을 통해 불편한 심경을 드러낸 바 있다.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장이 17일 낮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오찬을 하고 있다. 2025.7.17 [대통령실 제공]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장이 17일 낮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오찬을 하고 있다. 2025.7.17 [대통령실 제공]

이날 김 전 위원장은 이 대통령에게 거침없는 조언을 쏟아냈다고 한다. 초점을 맞춘 분야는 역시 경제였다. 구체적으로는 △양극화△저출생 △중소 제조업 경쟁력을 문제로 지적하며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전 위원장은 외국에서 경제 위기를 극복한 사례를 주로 설명했다고 한다.

이 대통령은 김 전 위원장의 조언을 귀담아들은 뒤 “이런 것을 해결하는 게 이재명 정부의 과제”라며 “경륜이 있으니 계속해서 도와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강선우 여성가족부·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비롯한 내각 인사를 놓고는 별다른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한다. 전날 김 전 위원장은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가장 심각한 문제는 이 후보자”라며 “학문 세계에서 표절은 남의 학문을 도둑질한 것과 비슷하다”고 비판했다.

한편 대통령실 국방비서관에 곽태신 국방부 방위정책관이 내정됐다. 육군사관학교 51기인 곽 정책관은 수석 졸업을 거머쥐며 대통령상을 받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국방부 미국정책과장과 서욱 전 국방부 장관의 군사보좌관을 지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핵공학 박사 학위도 취득했다.

일각에선 육사 출신이 약진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그동안 여권에선 비육사 출신을 선호해왔고 12·3 비상계엄을 계기로 육사를 더 경계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곽 정책관뿐 아니라 김현종 국가안보실 제1차장(44기), 이두희 국방부 차관(46기) 등 육사 출신 여럿이 이재명 정부에서 기용됐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