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관계자는 이날 로이터통신에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중 김 위원장과 가진 세 차례의 정상회담에서 세웠던 목표에 여전히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은 그 목표들을 유지하고 있으며,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 김정은 위원장과 대화할 의향이 여전히 있다”고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2018년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첫 북미정상회담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향해 노력하겠다”는 내용의 싱가포르 합의를 채택했다. 그러나 이듬해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두 번째 북미정상회담에서 영변 핵시설 폐기와 대북제재 완화 맞교환을 제시한 김 위원장과 ‘영변 플러스 알파’를 요구한 트럼프 대통령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협상이 결렬됐다.이 같은 발언은 김 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우리 국가의 핵보유국지위를 부정하려는 그 어떤 시도도 철저히 배격될 것”이라며 북한이 ‘핵 보유국’임을 인정하라는 내용의 담화를 발표한 직후 나왔다.
김 부부장은 이날 ‘조미(북미) 사이의 접촉은 미국의 희망일 뿐이다’ 제목의 담화를 통해 “우리는 지난 조미 대화에 대한 미국 측의 일방적 평가에 그 어떤 의미도 부여하고 싶지 않다”며 “미국이 변화된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실패한 과거에만 집착한다면 조미(북미) 사이의 만남은 미국 측의 희망으로만 남아있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나는 우리 국가수반과 현 미국 대통령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나쁘지 않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싶지는 않다”면서도 “조미 수뇌들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비핵화 실현 목적과 한 선상에 놓이게 된다면 그것은 대방에 대한 우롱으로 밖에 달리 해석될 수 없다”고 했다. 비핵화 협상이 아닌 다른 목적의 대화 가능성은 열려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김 위원장과의 대화가 열려있다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훌륭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김혜린 기자 sinnala8@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