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죽어가고 있다”...기생충 오스카상 비난했던 트럼프 “외국영화 100% 관세”

6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에서 제작된 영화에 대해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하며, 이를 영화 산업의 쇠퇴를 국가 안보 위협으로 간주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영화 산업 보호를 위해 관세 부과 절차를 조속히 시작할 것을 지시하고, 외국 영화 제작자들이 미국 시장에서 영화 제작자를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러한 관세 부과가 전 세계적으로 촬영되는 할리우드 영화 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 등 제조업서 ‘타깃’ 확장
상무부·USTR에 부과절차 지시
‘국가안보 위협’ 명분 부과나설듯

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플로리다에서 워싱턴DC 백악관에 복귀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대화하고 있다. [UPI 연합]

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플로리다에서 워싱턴DC 백악관에 복귀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대화하고 있다. [UPI 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외에서 제작되는 영화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다. ‘트럼프 관세’의 주요 타깃이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등 제조업에서 영화를 비롯한 엔터산업으로 확장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자신 소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서 “상무부와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외국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는 절차를 즉시 시작하도록 승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 영화 산업은 매우 빠르게 죽어가고 있다”면서 이같이 썼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국가들은 미국 영화 제작자와 스튜디오를 미국에서 사라지게 하기 위해 모든 종류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며 “할리우드와 미국 내 다른 지역들은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고 했다.

특히 그는 미국 영화 산업의 쇠퇴를 ‘국가 안보 위협’이라고 규정했다. 철강·알루미늄과 자동차 등 품목에 관세를 부과했던 것처럼 국가 안보를 명분으로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인센티브)는 다른 국가들의 조직적인 노력이며, 따라서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이라며 “이는 다른 모든 문제처럼 메시지이자 선전”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다시 한번 미국에서 제작된 영화를 원한다”고 덧붙였다.

그의 글에서 볼 때 상무부와 USTR은 외국 영화를 미국에 수입하는 것의 국가안보 영향을 따져보기 위해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조사절차를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무역확장법은 특정 품목의 수입이 국가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되면 관세 부과 등으로 수입 제한에 나설 수 있는 권한을 대통령에 부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할리우드 영화 산업을 재건하겠다는 의지를 여러 차례 내비쳤던 바 있다. 취임 나흘 전인 지난 1월 16일에는 트루스소셜에서 존 보이트, 실베스터 스탤론, 멜 깁슨 등 유명 영화배우 3명을 ‘할리우드 특사(Special Ambassador)’로 지명하면서 “이들은 지난 4년 동안 많은 사업을 해외에 빼앗긴 할리우드를 어느 때보다 더 크고, 더 좋고, 더 강하게 만들기 위해 특사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밝혔던 바 있다.

특히 지난 2020년 한국 영화 ‘기생충’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감독상·각본상·국제장편영화상을 수상했을 때 그는 “한국과 무역에서 많은 문제가 있는데 올해 최고의 영화상을 줬다”면서 비난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와 관련해 미국 언론들도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할리우드 영화도 여러 국가에서 촬영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에서 영화산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뉴욕타임스(NYT)는 미국 영화산업이 영화산업 노동자들의 인건비 상승으로 해외 촬영지로 눈을 돌리면서 지난 10년간 로스앤젤레스의 영화·TV 프로그램 제작이 3분의 1 이상 감소했다고 최근 보도했던 바 있다.

미국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는 “실제 이같은 관세가 어디에 어떻게 적용될지, 무엇에 대해 부과될지는 현재로서는 명확하지 않다”며 “관세가 극장 개봉에만 적용되는지, 스트리밍도 포함되는지, 관세가 영화와 TV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분할 것인지도 불분명하다”고 전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