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韓 출마, 국힘 후보 3일 결정… ‘덧셈’ 아닌 ‘비전’으로 단일화해야

18 hours ago 3
한덕수 전 대통령 권한대행이 2일 개헌과 통상 해결, 국민통합 등을 내걸고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한 전 대행은 “취임 첫해 개헌안 마련, 2년 차에 개헌 완료, 3년 차에 새로운 헌법에 따라 총선과 대선을 실시한 뒤 곧바로 직을 내려놓겠다”고 밝혔다. 3일에는 국민의힘이 김문수, 한동훈 후보 중 1명을 대선 후보로 결정한다.

대선 정국의 한 축은 이제 국민의힘 후보와 한 전 대행의 단일화가 과연 성사될지, 그게 언제 어떻게 이뤄질지가 될 것이다. 대법원 판결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의 ‘후보 자격’ 논란이 부각되면서 한 전 대행에 대한 견제 기류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경선 후보 중 한 전 대행과의 단일화에 가장 적극적이던 김 후보 측은 “김 후보가 주도하는 단일화 협상”을 강조했고, 한 후보는 “당에서 선출된 후보 중심으로 이기는 길로 가겠다”고 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도 “단일화나 빅텐트에는 응할 생각이 없다”고 했다.

한 전 대행은 “헌법 개정에 찬성하는 분들과는 누구라도 협력하고 통합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향후 단일화 과정이 만만치 않을 것임을 예고한 것이다. 실제 단일화 시간도 빠듯하다. 경선 룰 샅바싸움이 불가피하고 한 전 대행이 단일화 승자가 되더라도 국민의힘에 입당해 기호 2번을 받으려면 후보 등록이 마감되는 11일까지 모든 절차가 마무리돼야 한다. 이 시한을 넘길 경우 투표용지 인쇄를 시작하는 25일까지 지루한 협상이 이어질 수도 있다. 문제는 시간에 쫓겨 단일화 협상을 하다 보면 무슨 비전과 원칙으로 공당이 선출한 후보와 당 밖의 무소속 후보가 단일화를 하는 건지는 온데간데없고 ‘공학적’ ‘기술적’ 단일화 논의로만 흐를 수 있다는 점이다.

국민의힘 경선도 정책과 비전 경쟁은 없이 탄핵 찬반 논쟁으로 시종 치달았다. 이번 대선은 비상계엄 이후의 상처를 씻고, 미래를 그려 나갈 중요한 정치적 모멘텀이 돼야 한다. 정책 비전이나 권력 행사 방식은 물론 원내 1당과의 관계 설정도 국민이 주목하는 관심사다. 단일화 과정이 단순한 지지율 ‘덧셈’에 그쳐선 국민 공감을 얻기 어렵다. 위기의 대한민국을 어떻게 이끌지에 대한 국정 비전과 가치를 어떻게 공유하고 경쟁하는지에 따라 국민 평가도 갈릴 것이다.

사설 >

구독

이런 구독물도 추천합니다!

  • 지금, 이 사람

    지금, 이 사람

  • HBR insight

    HBR insight

  • 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

    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