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대표자회의 열어 투쟁 방향·계획 등 결정
‘통상임금 적용’ 두고 팽팽…시, 긴급수송대책 가동
8일 서울 버스 노조에 따르면 노조는 이날 오전 서울 등 22개 지역 버스 노조와 전국자동차노조 지역 대표자 회의를 열고 파업 여부와 방향 등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논의한다.
노조 관계자는 “시민들이 느낄 불편을 최대한 자제하기 위해 파업만은 피하고 싶다는 것이 서울 버스 노조 집행부의 입장”이라면서도 “이날 회의 결과에 따라 파업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했다.
앞서 서울 버스 노조와 서울버스운송사업조합은 올해 임금·단체협약(임단협)이 결렬됨에 따라 지난달 30일 하루 ‘경고성’의 준법투쟁을 벌였다. 노조가 파업 대신 준법투쟁을 택한 것은 이례적으로, 이는 쟁의행의의 하나다.규정 준수, 안전 운행 등을 명목으로 사실상 버스를 지연 운행하는 ‘태업’과 비슷한데, 이로 인해 30일 출근길 대혼란이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으나 다행히 큰 불편은 없었다.
다만 노조 측은 하루 경고성의 준법투쟁을 끝내면서 연휴 동안 사측과의 협상에 진전이 없을 경우 파업을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실제 노조는 연휴가 끝난 직후인 7일부터 준법투쟁을 재개, 파업 초읽기에 나섰다.
사측 관계자는 “연휴 동안 노사 간 물밑접촉이 있었으나 협상에 의미 있는 진전은 없었던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양측은 여전히 통상임금의 적용 범위와 임금인상률을 두고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노조는 대법원 판례에 따라 격월 지급되는 정기상여금이 자동으로 통상임금에 포함돼야 하며 이는 단체교섭 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사측과 서울시는 상여금 통상임금 반영 시 평균 임금이 약 15% 상승하고, 기본급 인상까지 포함하면 총 23%에 달하는 인건비 증가가 예상된다는 입장으로 맞서고 있다.
한편 시는 노조가 준법투쟁을 재개함에 따라 즉각 대책을 가동했다. 출근 시간 혼잡 시간대를 오전 7시부터 10시까지로 확대 운영하고 1~8호선 및 우이신설선에 총 47회 지하철을 추가 투입했다. 지난달 준법운행 당시 큰 혼잡이 발생하지 않았던 점을 고려해 자치구 셔틀버스는 운영하지 않는다.
또한 ‘버스열차’ 현상(여러 대 버스가 정차 지연으로 몰리는 현상) 방지를 위해 주요 중앙버스정류소에 공무원을 배치하고 고의 정차·감속 등 의심 행위는 현장에서 즉시 조치 중이다. 고의 지연이나 운행 불편과 관련한 시민 신고는 120 다산콜센터를 통해 신청 받고 있다.
만일 노조가 회의 결과 ‘파업’에 돌입할 경우, 시는 긴급 수송대책으로 즉각 전환해 지하철을 증회하고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버스 운행 간격, 운행 속도, 정류소 정차 시간 등에 이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서울경찰청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즉각 조치할 예정이다.
(서울=뉴스1)-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