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국민 대상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앞두고 스미싱(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사기) 피해를 막기 위해 공식 문자메시지에 인터넷주소(URL)를 넣지 않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10일 “소비쿠폰의 신청·지급 시기와 맞물려 정부, 카드사, 은행 등을 사칭한 문자 결제사기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나 카드사의 공식 문자가 아니라는 의심이 들면 클릭하지 말고 곧바로 삭제하고, 문자를 열람했다면 문자 내 인터넷주소를 절대 클릭하지 않도록 신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의 합성어로 악성 앱 주소가 포함된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대량 전송한 후 이용자가 악성 앱을 설치하거나 전화하도록 유도해 금융·개인정보 등을 탈취한다.
금융감독원은 “정부 및 금융기관 등은 안내 메시지에 URL이 포함된 문자 및 SNS는 일절 발송하지 않을 예정”이라며 “소비쿠폰 안내 문자에 URL 링크는 100% 사기”라고 강조했다.스미싱 의심 문자를 받았거나 문자 내 인터넷 주소(URL)를 클릭한 이후 악성 앱 감염 등이 의심되는 경우 24시간 무료로 운영하는 한국인터넷진흥원 118 상담센터에 신고할 수 있다.
정부는 스미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감독원·경찰청·한국인터넷진흥원을 통해 스미싱 발생, 신고 현황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신고·접수된 스미싱 정보를 분석하고 관련 링크 등 유포지를 즉시 차단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피해 신고 접수 시 신속하게 수사에 착수, 이용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이달 21일부터 카드사 앱·누리집, 지역사랑상품권 앱·누리집 등에 접속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또 카드와 연계된 은행 및 지방자치단체(주민센터)에서 대면으로 신청하면 된다. 소비쿠폰은 2차례에 걸쳐 1인당 15만 원에서 최대 55만 원까지 지급된다.전주영 기자 aimhigh@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