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앞에 비 내리고
신달자
밤새 내리고 아침에 내리고 낮을 거쳐 저녁에 또 내리는 비
적막하다고 한마디 했더니 그래 살아 움직이는 장면을 계속 보여 주는구나
고맙다, 너희들 다 안아 주다가 늙어 버리겠다 몇 줄기는 연 창으로 들어와
반절 손을 적신다 손을 적시는데 등이 따스하다
죽 죽 죽 줄 줄 줄 비는 엄마 심부름처럼 다른 사람에게는 내리지 않고
춤추듯 노래하듯 긴 영화를 돌리고 있다 엄마 한잔할 때 부르던 가락 닮았다
큰 소리도 아니고 추적추적 혼잣말처럼 오르락내리락하는 비
이젠 됐다라고 말하려다 꿀꺽 삼킨다 저 움직이는 비바람이 뚝 그치는
그다음의 고요를 무엇이라고 말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표현이 막막하다.
--------------------------------------------------------
하루 종일 비 내리는 모습을 지켜보는 사람이 있습니다. 지난밤부터 쉬지 않고 내리는 비를 보면서 ‘혼잣말’을 나직하게 되뇝니다. “적막하다”. 그 말을 알아들었는지 비는 ‘살아 움직이는 장면’을 보여줍니다. “고맙다”. 평생 보듬어 키운 인연처럼 그 빗줄기를 “다 안아 주다가 늙어 버리겠다”고 한마디 보태자 몇 줄기가 창 안으로 슬며시 들칩니다. 그렇게 들어온 비가 손을 적시는데 뜻밖에도 등이 따스합니다.
‘죽 죽 죽’ 쏟아지는 비는 ‘춤추듯’ 노래하고, ‘줄 줄 줄’ 흐르는 비는 ‘노래하듯’ 춤춥니다. 그 사이로 지난 시절이 긴 영화처럼 펼쳐집니다. 화면 속으로 ‘엄마 심부름’과 ‘엄마 한잔’의 인생 여정이 흐릅니다. 지나온 세월을 돌아보면 인생은 ‘큰 소리도 아니고 추적추적 혼잣말처럼 오르락내리락하는 비’와 같습니다.
저 비도 언젠가 그치겠지요. ‘저 움직이는 비바람이 뚝 그치는/ 그다음의 고요’는 무엇일까요. 그걸 무엇이라고 해야 할지 아직은 ‘말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 표현이 막막합니다. 어느 순간 ‘이젠 됐다라고 말하려다 꿀꺽 삼킨’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하루 종일 눅눅한 화폭 위로 비 내리는 풍경과 그 장면을 오래 응시하는 시선이 고즈넉합니다. 그 아득한 그림 가운데로 한 사람의 일생이 수묵담채화처럼 천천히 번집니다. 쓸쓸하면서도 따뜻하고, 고요하면서도 살아 움직이는 듯한 이 시는 그래서 적막 속의 빗소리와 기억 속의 노랫가락을 닮았습니다. ‘긴 영화’의 끝을 미리 알고도 발설하지 않는 관객의 속 깊은 마음 같기도 합니다. 그 고요의 깊이가 시의 행간에 한 줄씩 물기를 더합니다.
신달자 시인의 삶에도 비바람 치는 날이 많았습니다. 어릴 때는 고생 모르고 자랐고, 등단도 남보다 이른 스물한 살에 했지만, 인생에서 가장 화사하다는 30~40대를 험난하게 지나왔습니다. 결혼 9년째인 35세 때 뇌졸중으로 쓰러진 남편을 24년간 수발했고, 9년 동안 누워 지낸 시어머니를 돌봤습니다. 그 와중에 자신도 암과 싸워야 했지요.
그러나 시인은 “고통이 내 시를 더 단단하게 키웠다”고 말합니다. 남편을 간병하던 시절 온갖 약 냄새를 숨기느라 진한 향수를 뿌렸다가 ‘화려하게 멋 부리는 사람’으로 오해를 받기도 했습니다. 그럴 때마다 억울하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점차 나이가 들면서 누구에게나 남모를 고통이 있다는 것, 그 숨겨진 아픔을 이해할 줄 알게 됐습니다.
그것은 고통과 절망 속에서 깨달음의 빛을 비춰 준 인생의 ‘거울’이기도 했습니다. 그는 “아름답다는 말의 어원은 앓음 뒤에 찾아오는 깨달음”이라는 것을 뒤늦게 깨우쳤습니다. 돌아가신 어머니의 세 가지 당부 또한 잊지 않았지요. “평생 공부해라, 돈을 벌어라, 행복한 여자가 되어라.” 어머니가 생전에 다 이루지 못한 것들입니다. 남편과 시어머니를 간병하며 세 딸을 키우는 역할을 감당할 수 있었던 것은 어머니의 가르침 덕분이었습니다.
나이 50에 박사 학위를 따고 대학교수가 된 억척스러움도 그 뿌리에서 나왔습니다. 그는 ‘간절함’이라는 시에서 ‘그 무엇 하나에 간절할 때는/ 등뼈에서 피리 소리가 난다// 열 손가락 열 발가락 끝에/ 푸른 불꽃이 어른거린다// 두 손과 손 사이에/ 깊은 동굴이 열리고/ 머리 위로/ 빛의 통로가 열리며/ 신의 소리가 내려온다’고 썼습니다.
그렇게 피리 소리가 나는 등뼈의 간절함으로 ‘빛의 통로’를 찾고, 두 손을 동굴처럼 모으는 기도의 자세로 시를 썼습니다. 1964년 등단 이후 60여 년간 16권의 시집을 내면서 그는 “두 손으로 만지작거리는 모든 말들이 시가 된다”는 평을 들었습니다. 그 힘으로 대한민국문학상, 시와시학상, 영랑시문학상, 공초문학상, 김준성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잇달아 받았고 한국시인협회장까지 지냈지요.
그가 가장 좋아하는 단어는 ‘고마워’입니다. 가족에게 가장 하고 싶었던 말이라고 합니다. 돌아가신 어머니와 딸들에게 쓴 편지를 보니 ‘미안해’밖에 없어서 ‘고마워’에 더 애착이 간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시의 세 번째 행에 나오는 ‘고맙다’의 의미가 더욱 각별하게 다가옵니다.
■ 고두현 시인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오래된 길이 돌아서서 나를 바라볼 때』 등 출간. 김달진문학상, 유심작품상 등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