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과 거꾸로 가는 명품株… 에르메스 급락, 루이뷔통 급등

5 day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 에르메스가 2분기 매출이 39억 유로로 전년 대비 9% 증가했지만, 같은 날 주가는 4.54% 하락하여 주목받고 있다.

이는 자사 제품의 가격 인상 효과와 글로벌 성장 덕분이지만, 향수 및 시계 부문에서의 부진이 영향을 미쳤다.

또한, 루이뷔통과 구찌 같은 경쟁사들이 전반적으로 실적이 좋지 않은 가운데, 에르메스의 영업이익률이 예상치를 초과하며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주요 명품 업체 실적과 주가 희비 엇갈려
에르메스는 가격 인상 효과에도 주가 하락
루이비통·구찌는 실적 부진에도 주가 상승

파리 증시에서 급락한 에르메스 주가 [자료=야후 파이낸스]

파리 증시에서 급락한 에르메스 주가 [자료=야후 파이낸스]

주요 명품업체가 부진한 실적을 선보이는 가운데 간밤에 에르메스가 2분기 호실적을 발표했다. 하지만 경쟁사와 달리 주가는 되레 하락세를 보여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30일(현지시간) 에르메스는 2분기 매출이 39억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했고, 영업이익률도 41.4%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가격 인상 효과로 일본·미국·유럽·중동 등 전세계적으로 매출이 고루 성장한 덕분이다.

그러나 파리 증시에서 에르메스 주가는 하루 만에 4.54% 급락했다. 전반적으로 명품 시장 전체가 가라앉았고, 가죽제품의 호조세와는 달리 향수·뷰티, 시계 등 다른 부문에서는 매출이 뒷걸음질 쳤기 때문이다.

이는 앞서 실적을 발표했던 루이뷔통(LVMH)과 구찌(케링)의 경우와는 상반되는 흐름이다.

앞서 LVMH는 2분기 패션부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했고, 영업이익률도 22.6%로 낮은 수준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같은 부진은 명품업체 최대 시장인 중국을 중심으로 수요가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영업이익률이 당초 증권가 예상치를 뛰어넘었다는 평가에 주가는 하루 만에 3.92% 상승했다.

또한 회사 측 재무책임자가 “부동산 위기를 겪고 있는 중국 시장에서 명품을 향한 욕구가 명백한 개선을 보이고 있다”고 말한 것도 상승세에 영향을 끼쳤다.

구찌 등 패션 브랜드를 보유한 케링 역시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고 영업이익률 역시 12.8%로 뒷걸음질 쳤다.

구찌 단일 브랜드만으로 매출이 25% 감소한 것이 그룹 전체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실적 발표 이후 주가는 하루 만에 1.62% 올랐는데, 장중에는 5%가량 상승하기도 했다.

회사 측은 루카 드 메오 전 르노 최고경영자(CEO)를 영입하기로 했고, 앞서 영입한 디자이너 뎀나를 앞세워 구찌 전반에 걸쳐 다수 신제품을 선보이기로 한 덕분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