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2일 한미 관세협상 후속 논의와 관련해 “국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미국 정부와 세부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 |
한화 미국 필리조선소 전경.(사진=한화) |
여 본부장은 이날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상의회관에서 열린 ‘대한상의 국제통상위원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한미 관세협정 후속 협의를 위해 미국에 갔다가 19일 귀국한 여 본부장은 방미 직후 회의에 참석했다.
여 본부장은 “자국우선주의와 보호무역주의 흐름이 확산되는 가운데, 정부는 산업정책과 긴밀히 연계해 경제안보를 강화하고, 글로벌 사우스 등 수출 시장 및 품목 다변화를 적극 추진해 기업의 기회를 넓혀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의는 한미 관세협상 이후의 혼란 속에서 정부의 협상 과정과 향후 통상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기업과 정부 간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회의에는 이계인 국제통상위원장(포스코인터내셔널 대표이사),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을 비롯해 김동욱 삼성전자 부사장, 염성진 SK수펙스 부사장, 김동욱 현대자동차 부사장 등 주요 기업 대표와 임원이 자리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최근 발생한 비자 리스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이계인 위원장은 “최근 미국에서 발생한 한국 근로자 비자 관련 문제와 같이 예기치 못한 상황이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것처럼 기업들은 긴장을 늦출 수 없다”며 “정부가 기업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이고, 정책에 충실히 반영해 주기를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기업들 역시 인력·비자 문제를 지적했다. 한 기업 관계자는 “미국 시장에 진출 시 초기 운영 인력이 다수 필요하지만, 신속발급이 가능한 ESTA나 B1 비자는 현지 근무가 사실상 불가능하고, H-1B는 쿼터 제한과 긴 발급 절차로 제약이 크다”며 “마스가(MASGA) 프로젝트 등 전문 인력에는 별도 비자를 신설하고, 쿼터 확대와 발급 절차 단축과 같은 제도 개선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통상 불확실성에 대한 애로사항도 제기됐다. 기업들은 특히 조선, 원전 등 미국 내 공급망이 완전히 갖춰지지 않은 전략 산업은 그 공백을 국내 공급망이 보완해야 한다며 해당 산업에 대한 관세 유예나 면제가 시급하다고 건의했다. 특히 반도체 등 주요 품목의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철민 대한상의 국제통상본부장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에서 대한상의는 기업의 목소리를 적극 전달하고, 정부와의 가교 역할을 통해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