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장관, 미국 방문 앞서 일본 찾아
이시바 총리, 이와야 장관 등과 면담
셔틀 외교와 패스트트랙 재개 공감대
미일 관세 협상 관련 충분한 대화 나눠
조현 외교부 장관이 29일 취임 이후 처음 일본을 방문해 1박 2일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 등과 회담을 했다.
30일 일본과의 회담을 마친 조 장관은 이날 미국으로 떠나기에 앞서 도쿄 미나토구 주일한국대사관에서 특파원 간담회를 갖고 “이시바 총리를 예방해 한일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 필요성에 대해 서로 공감하는 얘기를 나눴다”며 “셔틀 외교 재개에 대해서도 논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양국 정상이 만나는 셔틀외교는 지난해 말 계엄 사태로 인해 현재 중단된 상태다. 일본 정국도 어지러운 상황이라 재개가 되려면 다소 시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조 장관은 이와야 외무대신과의 장관급 회담과 관련해 “급변하는 국제정세에 대한 양국의 대응 방안을 깊이 있게 논의했다”며 “한미일 협력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강조했다.
한일 외무장관 회담에서는 미일 관세 협상 내용도 논의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 외무부 고위관계자는 “일본 측에서 협상 과정과 주요 내용에 대해 성의 있게 설명해줬다”며 “전반적인 내용을 제대로 확인할 기회가 됐다”고 말했다.
이번 장관급 회담에서는 한일 전용 ‘패스트트랙’ 재개도 논의됐다. 조 장관은 “보다 실무적인 논의를 거친 뒤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시행 시기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패스트트랙은 한일 양국이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6월 한 달간 실시한 양국 국민 전용 입국심사대를 말한다. 입국일을 기준으로 최근 1년 이내에 1회 이상 일본을 방문한 적이 있는 사람은 전용 레인을 통해 빠르게 입국이 가능하다. 일본에서는 하네다공항과 후쿠오카공항이, 한국에서는 김포·김해공항에서 운영된 바 있다.
조 장관은 “동북아 지역의 안정을 위해 실존하는 위협인 북한 문제와 중국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했다”며 “일본이 가지고 있는 중국에 대한 우려사항을 잘 듣고 중국과도 필요한 협력과 대화를 당연히 이어 나가야 한다는 의견을 나눴다”고 말했다.
한편 당면한 미국과의 관세 협상과 관련해 조 장관은 한미 협력 차원에서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보 동맹, 자유무역협정(FTA)이라는 두 개 기둥에 이어 한미 간 기술 협력이라는 3번째 기둥을 세워야 한다는 설명이다.
조 장관은 “기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상황에서 미국이 원하는 제조업 회귀 정책과 맞물려 한미 모두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려고 한다”며 “군사적 차원의 기술부터 인공지능, 바이오 등 최신기술까지 한미 간 협력할 수 있는 분야가 많다”고 강조했다.
일본 도쿄에서 1박 2일간 머문 조 장관은 바로 미국 워싱턴으로 향해 31일(현지시간)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만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