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까지 될 줄 몰랐다…급전 끊긴 서민들 '한숨'

22 hours ago 5

입력2025.09.20 20:13 수정2025.09.20 20:13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서민의 급전 창구’로 불리는 카드론 문턱도 높아졌다. 신용대출 한도를 연 소득 이내로 제한하면서 카드론으로 빌린 빚도 신용대출 한도에 포함했기 때문이다. 신용대출과 카드론을 모두 받을 계획이 있다면 카드론보다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신용대출부터 먼저 받는 것이 유리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6월 27일 부동산 규제가 시행된 이후 카드론 대출이 크게 줄었다.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국내 카드론 신규 취급액은 3조1470억원으로 전월(3조5550억원) 대비 11.5%(4080억원) 감소했다. 전년 동월(3조7070억원)과 비교하면 15.1%(5600억원) 줄었다.

6·27 부동산 규제에 강력한 대출 규제가 포함되면서 카드론 감소가 두드러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6월 28일부터 신용대출 한도를 연 소득 이내로 제한하는 동시에 카드론을 신용대출로 분류하기 시작했다. 그동안 카드론은 ‘기타대출’로 분류돼 신용대출 한도가 차더라도 추가로 빚을 낼 수 있었다. 규제 시행 이후에는 신용대출을 한도만큼 받으면 카드론을 받을 수 없게 됐다.

신용대출과 카드론을 합산해 한도를 따지기 시작한 만큼 신용대출과 카드론을 모두 이용할 계획이 있다면 신용대출을 먼저 받는 게 좋다. 일반적으로 1금융권인 은행에서 빌리는 신용대출 금리가 2금융권인 카드사에서 빌리는 카드론보다 금리가 낮기 때문이다. 또 2금융권에서 대출을 먼저 받으면 신용점수가 하락해 1금융권에서 신용대출을 받을 때 한도와 금리 산정에 불이익이 생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소액을 수시로 빌리고 갚는 용도로 카드론 서비스를 이용하던 소비자라면 은행에서 신용대출의 일종인 마이너스통장을 개설해 언제든 필요한 만큼 쓰고 다시 상환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마이너스통장도 카드론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다”고 설명했다.

정의진 기자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