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GIN / @END : 특정 텍스트의 문맥 또는 의도 강조를 위해 사용되는 SCRIBE 명령어로, 해커 문화에서 유머러스하게 인용됨 ANGLE BRACKETS (각괄호) : "<" 와 ">" 문자를 지칭하며 MIT에서 자주 쓰였던 용어임 AOS: "증가"를 의미하는 PDP-10 명령어에서 유래, 어떤 수치나 상태를 증가시킴을 장난스럽게 표현함 ARG (아그) : 함수의 인자(argument)를 지칭, 빈번히 사용되어 독립적 단어로 자리잡음 AUTOMAGICALLY: (자동적+마법적) 자동 실행되지만, 그 동작 원리가 너무 복잡하거나 설명이 귀찮을 때 사용되는 풍자적 표현임 BAGBITER: 간헐적으로 고장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비하하며 칭하는 단어, 형용사형(BAGBITING)도 존재함 BARF: 프로그래밍에서 역겨움 또는 입력값 처리 에러 발생 등의 의미로 활용됨 BELLS AND WHISTLES: 프로그램의 필수는 아니지만 유용하거나 재미있는 부가기능을 의미함 BIGNUMS: 계산기, 프로그래밍 등에서 극단적으로 큰 정수나 수치를 가리키는 용어임 BINARY/BIN: 프로그램의 오브젝트 코드나 2진 파일, 시스템에 따라 다양한 별칭 존재 BIT BUCKET: 삭제되거나 더 이상 접근 불가한 데이터가 흘러 들어가는 상상의 장소, 사실상 '없어짐'을 의미 BUG: 원치 않거나 의도치 않은 프로그램의 결함, 본래 전화선 결함에서 차용된 용어임 CANONICAL: '표준' 또는 '정석'과 같은 바람직한 상태를 표현함 CROCK/CRUFTY: 우아하지 못하거나 조잡한 구현 혹은 작성 방법을 낮잡아 표현함 DAEMON/DEMON: (데몬/디몬) 사용자가 직접 호출하지 않아도 특정 조건에서 동작하는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혹은 프로세스임 DEADLOCK/DEADLY EMBRACE: 여러 프로세스가 서로를 기다려 아무 일도 진행되지 않는 교착 상태, 유럽에서는 DEADLY EMBRACE라는 표현을 선호함 DWIM: "Do What I Mean"의 약자로, 사용자의 의도대로 동작함을 희망하는 농담성 표현이자 일부 시스템 함수의 실제 명칭임 FENCEPOST ERROR: 프로그래밍 반복문 등에서 나타나는 경계 조건 오류의 고전적 예시로, n칸 fence에 필요한 기둥의 개수를 잘못 계산하는 실수에서 유래함 FROB/FROBNICATE/TWIDDLE/TWEAK: 기계, 코드, 값 등을 무작정 조작하거나 미세하게 조정하는 일련의 동작을 구분해 나타내는 일상 은어임 HACK/HACKER: 도구와 코드를 창의적으로 또는 임기응변적으로 다루는 행위, 그리고 이에 능숙하고 열정을 가진 사람을 통칭함. 긍정적 맥락과 장난, 장인정신, 심지어 해커만의 유머와 문화도 포함함
해커 사전(The Hacker's Dictionary) 개요
대표 용어 및 의미 요약
용어별 세부 설명
@BEGIN / @END
ANGLE BRACKETS (각괄호)
ARG
AUTOMAGICALLY
BAGBITER
BAR
BARF/BLETCH
BELLS AND WHISTLES
BIGNUMS
BIN/BINARY
BIT/ BITBUCKET
BUG/FEATURE
CANONICAL
CROCK/CRUFTY
DAEMON/DEMON/DRAGON
DEADLOCK/DEADLY EMBRACE
DWIM
FROB/TWIDDLE/TWEAK
FENCEPOST ERROR
HACK/HACKER/HACKISH
추가 문화적 맥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