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지방에 신재생에너지를 100% 사용하는 ‘RE100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국내외 첨단기업 유치에 나서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RE100 산단을 규제 프리존으로 설정해 신속히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10일 브리핑을 하고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대통령께 RE100 산단 추진 방안을 보고했다”며 “산단의 신속한 조성을 위해 가칭 ‘RE100 산단 및 에너지 신도시 조성과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실장은 오는 9월부터 열리는 정기국회에서 해당 특별법이 통과될 수 있도록 법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부터 글로벌 데이터센터 입지를 정한다”며 “해당 지역에 굵직한 기업이 입주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RE100 산단이란 입주하는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친환경 산업단지를 가리킨다. 이를 위해 산업단지 내 지붕, 유휴 용지 등에 태양광 발전 시설을 설치하거나 인근 지역의 풍력·태양광발전소와 연계한다.
김 실장은 “생산된 재생에너지를 수도권으로 옮기려면 송전망이 대대적으로 확충돼야 하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며 “국가적 비효율성을 줄여나가기 위해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지역에 첨단 기업을 유치하고 재생 에너지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하자는 게 RE100 산단의 기본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보고를 받고 입주 기업에 대한 파격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RE100 산단은 원칙적으로 규제 제로로 검토해 달라”며 “교육·정주 여건도 더욱 더 파격적인 방안으로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아울러 “송전망 건설 비용이 절감되는 만큼 정책실에서 보고한 전기료 할인 혜택보다 더 파격적인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김 실장은 “기업이 산단에 오려면 교육과 정주 여건이 갖춰져야 한다”며 “해외 기업을 유치하려면 외국인 학교 설립 문제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용어 RE100 : 기업이 필요한 전력량 전체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하자는 취지의 글로벌 캠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