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대출 막히자…月500만원 넘는 '초고가 월세' 확 늘었네

2 days ago 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의 6·27 대출 규제로 인해 전세 수요가 월세 시장으로 급격히 전환되며, 서울의 월세가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 중 500만원 이상 계약이 전체의 약 2%를 차지하고, 월세 지수는 최고치를 기록하며 고가 월세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전세 물량 감소와 대출 규제 등으로 인해 세입자들은 전세 대신 월세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6·27 대출 규제 후폭풍
전세→월세 전환 속도 빨라져
강남선 月1000만원 계약 속출

사진설명

정부의 6·27 대출 규제가 시행된 지 한 달여가 지나면서 대출 문턱에 막힌 전세 수요가 월세 시장으로 빠르게 흡수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월세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며 서울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월세 500만원이 넘는 초고가 계약 비중이 늘어나는 등 임대차 시장의 '월세화'가 가속화하는 양상이다.

1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7월 한 달간 체결·신고된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 7253건 중 월세 500만원 이상인 고액 계약은 146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거래의 약 2%에 해당하는 수치다. 연초 1%대 초반이었던 이 비중은 7월에 처음으로 2%를 넘겼다. 월세 300만원 이상 거래 비중 역시 연초 5%대에서 7.7%까지 높아지며 전반적으로 고가 월세 시장이 뚜렷하게 확대되는 모습이다.

실제 초고가 계약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강남구 개포동 개포자이프레지던스 전용면적 132㎡(2층)는 지난달 29일 보증금 3억원·월세 1000만원에 신규 계약이 체결됐다.

용산구 한남동의 하이페리온2차 전용 227㎡는 지난달 보증금 1억5000만원·월세 2000만원에 계약됐다.

월세 상승세는 초고가 계약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월세지수는 127.4로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4년 3월 112.6을 기록한 이후 17개월 연속 상승세다.

고가 월세뿐 아니라 전반적으로 월세가 오르는 가장 큰 원인은 높아진 전세대출 문턱이다. 6·27 대책으로 버팀목 전세대출 한도가 축소됐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대출 보증 비율 역시 수도권 기준 90%에서 80%로 줄었다. 이에 따라 세입자들이 전세보증금 전액을 대출로 마련하기가 어려워졌다. 자금 조달이 막힌 세입자들은 보증금을 낮추고 월세를 내는 '반전세'나 순수 월세를 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전세 매물 감소도 월세를 밀어 올리는 요인이다.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경우 6개월 내 실거주 의무가 생기면서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어려워졌다. 신규 전세 공급의 주요 통로 중 하나가 막힌 것이다.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으로 잔금을 치르는 방식의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이 중단된 점도 전세 매물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2022년 말 5만건이 넘었던 서울 전세 물량이 이달 들어서는 2만2000건대까지 줄었다.

이처럼 수요와 공급 양 측면에서 월세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굳어지면서 지난달 서울의 신규 아파트 임대차 계약 중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42.2%에 달했다. 1년 전 같은 기간(41.5%) 대비 확대된 수치다.

[박재영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