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기간·비용 부담만 커져 안전사고·품질 등 고려해야"
업계 우려 섞인 볼멘소리
정부가 주4.5일제 도입을 본격 검토하면서 건설업계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확대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른 정책이지만 현장에서는 "공사 기간 연장과 비용 증가 등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최근 발간한 '주4.5일제 도입과 건설산업의 대응 방안' 보고서를 통해 "건설업은 발주자가 명확히 존재하는 수주 산업인 만큼 작업 시간 단축은 곧 공정 지연과 공사비 증가로 직결된다"며 "계약 구조상 이러한 비용 증가는 조정도 쉽지 않아 산업 전반에 혼란이 초래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건설업 특성상 현장 작업 대부분이 야외에서 진행된다. 기후와 계절에 따라 작업 여건이 크게 좌우되며 이에 야간이나 주말 작업 등 유연한 근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보고서는 "이런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근로 시간을 일률적으로 줄이면 결국 일정 지연, 품질 저하, 안전사고 증가 등 복합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고령화에 따라 생산성도 감소하고 있다. 한국생산성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업 노동생산성 지수(부가가치 기준)는 92.7로 전년(95.6) 대비 2.9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전체 산업 노동생산성 지수는 상승하며 지난해 107.2를 기록했다. 건산연은 주4.5일제의 무리한 도입이 아닌 공공과 민간 발주처의 적정 공사 기간 산정 기준 개정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박재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