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고령자·지역 맞춤 '특화주택' 1786가구 공급…부천·삼척 등 14곳 선정

5 hours ago 1

국토교통부가 수요자 맞춤형으로 설계된 ‘특화주택’ 1786가구를 전국 14곳에 공급한다. 청년, 고령자, 신혼부부 등 대상별 주거 수요를 고려한 이번 공급은 지역 여건을 반영한 ‘지역제안형’ 주택이 다수를 차지했다. 특히 부천 3기 신도시에는 중산층을 위한 공공임대까지 포함돼 주목된다.

국토부는 6일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상반기 특화주택 공모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이와 더불어 고령자복지주택(368가구),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159가구), 청년특화주택(176가구), 지역제안형 특화주택(1083가구) 등 총 1786가구의 공급 계획을 밝혔다.

이번 공모는 지난 4월부터 두 달간 진행됐다. 지자체 제안 발표와 평가위원회 심사를 거쳐 선정됐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4개 시(광명, 동두천, 부천, 포천), 강원 삼척, 전북 고창·부안, 울산, 제주 서귀포 등 총 14곳이 포함됐다.

부천 3기신도시에 중산층 임대 첫 도입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중 가장 큰 규모는 경기 부천시 대장지구다. 이곳에는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가 함께 거주할 수 있는 741가구 규모의 '세대통합형 특화주택'이 들어선다. 특히 이 단지는 3기 신도시 내 공공복합용지에 공급되는 첫 중산층 대상 공공임대주택이다. 주거·공공·상업시설이 복합된 개발이 추진된다.

동두천시는 청년·신혼부부 인구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지행역 인근에 210가구 규모의 특화주택을 조성한다. 포천시에서는 원거리 출퇴근 중인 청년 군무원을 위한 32가구, 강원 삼척시에는 탄광근로자와 대학생, 이주민 등을 위한 100가구 규모의 주택이 마련된다. 삼척 주택에서는 멘토링, 심리상담 등 세대 간 교류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고령자·청년·근로자 위한 맞춤형 주거도 확장

고령자복지주택은 울산 2곳(214가구), 부천(100가구), 제주 서귀포(54가구) 등에서 총 368가구가 공급된다.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를 대상으로 안전손잡이 등 편의시설이 설치된다. 사회복지시설과 연계해 복지 서비스도 함께 제공된다.

청년특화주택은 울산, 전북 고창·부안 등에 총 176가구가 들어선다. 울산 울주군의 경우 울산대 인근에 36가구를 공급한다. 공유주방·공유거실·계절창고 등 청년 선호 편의시설을 갖춘다. 고창·부안은 지역 청년 인구 유입을 위한 전략으로 각 40가구, 100가구를 배정했다.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은 광명시(123가구)와 울산 울주군(36가구)에서 총 159가구가 공급된다. 광명시는 시흥산단 근로자를 위한 코워킹스페이스, 공유오피스 등을 포함한 직주근접형 설계를 도입했다. 울주는 온산국가산단 근로자 주거 여건 개선을 위해 사업을 추진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특화주택 공급은 다양한 삶의 방식과 지역 실정을 반영한 새로운 공공주택 모델"이라며 "설계와 입주기준에 지역 맞춤형 자율성을 부여한 만큼 정주 여건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