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 제재… “필리조선소 피해액만 850억원”

2 days ago 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국 상무부가 한화오션의 미국 내 자회사 5곳에 거래 금지 제재를 발표하였으며, 향후 1~2년간 필리조선소의 피해액이 600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유용원 의원은 이번 제재가 한국·미국 조선·방산 협력을 견제하려는 정치적 조치라고 지적하며, 정부가 외교적 해법과 산업적 대응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조선·항공 기술력이 뛰어난 만큼, 한국 제품이 미국 조달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RDP-A 협정의 조속한 체결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유용원 의원실 제공]

[사진 출처 = 유용원 의원실 제공]

최근 중국 상무부가 한화오션의 미국 내 자회사 5곳에 대한 전면 거래 금지 제재를 발표한 가운데 향후 1~2년간 필리조선소 한 곳의 피해액만 6000만달러(약 850억원)에 달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17일 방위사업청 국정감사에서 “제가 파악한 바로는 향후 1~2년 내 필리조선소에만 한화 850억원 이상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이번 제재는 한·미 조선·방산 협력을 견제하려는 정치적 조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 사안을 단순한 무역 갈등이 아닌 경제 안보 사안으로 인식하고 외교적 해법과 산업적 대응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의원은 또 “한국은 이미 이지스 구축함과 차세대 잠수함 등 첨단 함정을 자체 설계·건조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미국의 제도적 장벽이 여전히 우리 산업의 진출을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과거 필리조선소 전경 [사진 출처 = 유용원 의원실 제공]

과거 필리조선소 전경 [사진 출처 = 유용원 의원실 제공]

현재 조선 분야는 미국 내 ‘미국 소유 조선소’에서만 군용 함정을 건조할 수 있으며, 항공 분야 역시 미국산 부품 비율이 75% 이상이어야 제안서 제출이 가능하다. 이같은 구조 속에서 한국의 조선·항공 제품은 ‘외국산’으로 분류돼 세계적 기술력을 보유하고도 미국 조달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유 의원은 “RDP-A(한·미 상호 국방 조달협정)가 조속히 체결돼야 한국의 세계적 기술력을 가진 조선·항공 산업이 미국 조달시장에 실질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며 “방위사업청은 외교·산업 부처와 협력해 연내 협정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실질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RDP-A 협정은 한·미 방산 협력의 제도적 토대를 세우는 일이며, MASGA 프로젝트는 그 협정이 현장에서 구현되는 첫 사례”라며 “방위사업청이 한·미 방산협력의 문을 여는 주체로서 현장의 절박한 목소리를 제도적 성과로 이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