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인상적인 초상화는 프랑스 화가 조제프 뒤크뢰의 ‘하품하는 자화상’(1783년·사진)이다. 뒤크뢰는 18세기 말 프랑스 궁정의 수석화가로, 마리 앙투아네트의 결혼 전 첫 초상화를 그려 남작 작위를 받았고 루이 16세의 마지막 초상화를 그렸다. 권력자들을 실물보다 미화해서 그리는 건 그의 당연한 임무였다.
그는 1780년대부터 자화상도 여러 점 그렸는데 그중 48세에 그린 이 그림이 가장 유명하다. 화가들이 자화상을 그리는 이유는 모델료를 들이지 않고 다양한 기법이나 표현을 연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감정이나 내면을 기록하거나 화가로서의 모습을 후대에 남기고 싶은 이유도 있을 것이다. 어떤 경우든지 실물보다 미화하거나 화가로서 진중한 면을 부각해서 그리기 마련이다. 왜냐면 초상화를 의뢰하려는 상류층 고객들에게 작품 샘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뒤크뢰는 전통적인 초상화나 자화상의 틀을 깨고 싶었던 듯하다. 신분을 드러내지도 미화하지도 않았다. 귀족 신분의 화가인데도 터번과 재킷 등 캐주얼한 차림새다. 게다가 멋진 포즈는 고사하고 하품하는 장면이라니! 턱이 빠질 듯 크게 벌린 입, 비틀린 얼굴과 과한 몸동작, 매력적이지 않은 중년의 몸을 그대로 담았지만 결코 밉지는 않다.하품은 생리적 현상이다. 생리학에 관심이 많았던 뒤크뢰는 다양한 표정을 연구하고 표현하는 수단으로 자신을 이용했다. 거울을 보며 놀라거나 웃거나 졸리는 표정을 연습해 화폭에 옮겼다. 이 자화상은 중년의 피로감을 전달하려는 목적으로 제작됐을 터다. 화가의 눈빛은 마치 ‘그동안 일을 너무 많이 했으니 이제는 휴식을 달라’고 아우성치는 것 같다.
이은화 미술평론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