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너무 비싸서"…올해 '탈서울' 16만명은 경기도 향했다

4 hours ago 2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뉴스1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뉴스1

가파르게 오르는 집값 부담에 탈서울 행렬이 가속하고 있다. 서울을 등진 이들 상당수는 옆세권인 경기 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통계청 인구이동 자료에 따르면, 올해(1~7월) 서울 전출 인구 28만4063명 가운데 절반이 넘는 16만6636명(58.66%)은 경기도에 전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2만8710명(10.11%)을 기록한 인천의 5.8배에 달하는 규모다. 서울에서 경기로의 순이동자 수는 2만949명에 달해 인천의 순이동자 수(7514명)보다 2.8배 많았다.

서울에서 경기로 순이동한 인구는 광명시가 6440명으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파주시(2975명) △안양시(2364명) △양주시(1951명) △의정부시(1682명) △김포시(1315명) △남양주시(1267명) △고양시(1184명), 화성시(744명), 부천시(734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경기로의 탈서울 행렬이 이어지는 가장 큰 이유는 서울의 높은 주거비 부담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서울 민간 아파트의 3.3㎡당 분양가는 올해 7월 4535만8500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같인 기간에 비해 3.23배, 2년 전과 비교해서는 42.06% 치솟은 액수다. 이에 반해 경기는 2222만8800원으로 서울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사진=리얼투데이

사진=리얼투데이

매매가격 격차도 뚜렷하다. 부동산R114 통계에서 지난달 서울의 3.3㎡당 평균 매매가는 4654만원, 경기는 1853만원으로 큰 격차를 보였다. 같은 기간 서울 전세가격이 2057만원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경기에서는 사실상 서울 전세가로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이러한 가격 부담은 인구 이동에도 반영되고 있다.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와 세대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2021년 서울의 인구수는 950만9458명에서 △2022년 942만8372명 △2023년 938만6034명 △2024년 933만1828명 △2025년 8월 932만1863까지 줄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경기 지역으로의 인구 전입이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서울에 비해 주거비 부담이 적으면서도 넓은 주거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과 인접한 경기 지역의 경우 출퇴근 등 생활권 공유가 가능하면서도 한층 쾌적한 주거 환경까지 누릴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의 주거비는 부담스러운 반면 교통 여건이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경기권은 서울 접근성을 유지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대에 더 넓고 쾌적한 주거 공간을 제공한다"며 "자녀 교육 환경이나 주거 안정성 등을 고려하는 30·40세대 실수요자들이 경기권 신축 아파트를 적극적으로 찾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