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 상병 특검팀의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4일 브리핑에서 “다음주부터 VIP 격노설과 관련된 조사를 본격화할 예정”이라며 “이 사건 수사외압 의혹이 촉발된 계기가 2023년 대통령실에서 열린 회의였다. 이 회의의 정황을 알고 있을 것으로 보이는 관계자들을 다음주부터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VIP 격노설은 윤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 31일 열린 국가안보실 회의에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포함한 간부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이첩한다는 보고를 받고 “이런 일로 사단장까지 처벌하면 누가 대한민국에서 사단장을 하겠느냐”며 격노했고, 이후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언론 브리핑과 경찰 이첩을 보류됐다는 의혹이다. 이 과정에서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이 경찰 이첩 중단을 지시했고, 국방부가 사건 기록을 회수하도록 지시했다는 정황도 발견됐다.
특검은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 등 회의에 직접 참석했던 관계자들은 물론, 참석하지 않았더라도 회의 내용을 알고 있을 만한 관계자들에게 다음주 출석을 요구할 방침이다. 이들을 통해 윤 전 대통령의 ‘격노’가 실제 있었는지 진위를 파악하겠다는 것이다.또한 특검은 7일 오전 김 전 사령관을 특검 사무실로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정 특검보는 “(김 전 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이나 이 전 장관에게 받은 지시가 무엇인지가 주요 조사 내용이 될 것”이라며 “(채 상병 순직) 사고 직후 임 전 사단장의 허위보고 내용에 대해서도 조사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 박경훈 전 국방부 조사본부장 등 사건 핵심 관계자들에 대해서도 출국금지 조치가 이뤄진 상태다.
김건희 특검팀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을 벌인 지 하루 만인 4일 관련사 대표를 불러 조사했다. 전날 압수수색 대상에는 삼부토건, 디와이디 외에 삼부토건 주식을 디와이디에 매각한 이석산업개발도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오정희 특검보는 4일 브리핑에서 “어제 오후 11시쯤 삼부토건 관련 압수수색을 완료했다”며 “오늘은 관련 회사 대표를 불러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삼부토건이 압수수색 사흘 전 본사를 서울 중구에서 종로구로 옮긴 데 대해 증거인멸 의도가 있었는지도 살펴보고 있다.
특검팀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외 다른 사건들도 관련자 조사와 증거 수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사를 병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건희 특검은 3대 특검 가운데 가장 많은 16개 항목을 수사 대상으로 삼고 있다. 오 특검보는 김 여사 조사 시점과 관련해 “(김 여사 측과) 협의된 건 없다. 어떤 연락도 받은 바 없고, (특검이) 한 바도 없다”며 “앞으로 압수물 분석과 함께 관련자 조사를 최대한 신속하게 병행하여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박종민 기자 blick@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