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대선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사장 선임을 추진하면서 정치적 논란을 일으킬 우려가 커졌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와 맞물려 정부 고위 관료 출신이 캠코 수장으로 임명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자 더불어민주당까지 나서는 등 반대 의견을 내는 등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 |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달 29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차기 사장 후보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캠코 임원추천위원회가 최종 후보를 선정하면, 금융위원회의 추천을 받은 후보자는 대통령(권한대행) 임명을 거쳐 공식 임명된다.
캠코는 주로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출신의 관료들이 수장을 맡아온 공공기관이다. 이번 사장 공모에는 기재부의 정정훈 세제실장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정정훈 세제실장은 기재부 내에서 높은 신망을 얻고 있으며 행정고시 출신으로 내국세와 국제조세를 아우르는 실력자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이번 선임은 대선 직전 시점에 진행하는 만큼 그 시기적 특성상 논란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 권남주 사장은 성업공사에서 캠코로 사명을 바꾸고 난 후 처음으로 외부 출신이 아닌 내부 출신 사장으로 금피아(금융+마피아)와 관피아(관료+마피아) 관행을 깨는 혁신적인 인사로 평가됐다. 그러나 이번에도 기재부와 금융위 출신이 다시 캠코 수장을 맡게 된다면 반복되는 ‘낙하산 인사’ 논란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사실 캠코의 리더십 공백으로 당장 새 사장이 꼭 필요한 상황은 아니다. 캠코는 지난해 11월 임추위를 구성했으나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로 사장 인선 작업이 중단됐다. 권남주 사장은 임기 만료 후에도 직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대선이 다가오면서 임명 절차가 급박히 이뤄지고 있다.
캠코 사장 선임은 비슷한 시기에 진행 중인 기술보증기금의 이사장 선임과도 대조적이다. 기보는 지난해 11월 이사장 임기가 만료된 후 사장 공모를 진행하려 했으나 비상계엄 사태로 절차가 중단했다. 이후 이사장 교체를 위한 임시 총회나 인선이 미뤄지고 있다. 캠코 측은 “이번 사장 인선은 절차대로 진행할 것이다”고 밝혔다. 정치권은 이번 인선이 단순히 ‘알박기’가 아니라, 새로운 정권의 정치적 책임을 떠넘기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22일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윤석열이 파면된 뒤에도 측근 챙기기와 보은 인사는 더욱 노골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캠코 사장 선임 절차를 거론하기도 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대선 직전의 캠코 사장 선임은 단순히 한 기관의 리더를 정하는 문제가 아니라 공공기관의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둘러싼 중요한 논란으로 확산할 수 있다”며 “새 정부가 들어서기 전에 현 정부의 인사를 강행하는 것은, 정치적 책임을 회피하려는 의도나 이전 정권의 흔적을 남기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