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부과되면 부흥…시간 조금 걸릴 것”
“역성장, 바이든이 나쁜 수치 남겼기 때문”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 시간) 1분기 경제성장률이 발표된 후 증시가 하락하자 “이것은 바이든의 주식 시장이지, 트럼프의 것이 아니다”며 “나는 1월20일 전에는 집권하지 않았다”고 적었다.
석달 중 두달 이상 자신이 재임했음에도 전임 정부 책임을 주장했고, 전세계 무역을 위축시킨 관세 정책과도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오히려 관세 정책으로 인해 조만간 경제가 부흥할 것이라 장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가 곧 부과되기 시작하고, 기업들은 기록적인 숫자로 미국으로 이전하기 시작할 것이다”면서 “우리나라는 부흥할 것이지만, 바이든이 남긴 부담을 제거해야 한다”고 했다.그러면서 “시간이 좀 걸리겠지만, 이것은 관세 때문이 아니라, 바이든이 좋지 않은 수치를 남겨놨기 때문이다”며 “일단 호황이 시작되면 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을 것이다. 인내하라”고 덧붙였다.
이날 미 상무부는 올해 1분기(1~3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속보치가 지난해 4분기 대비 연율환산으로 -0.3%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미국 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코로나 사태가 진행형이던 2022년 1분기(-1.0%) 이후 처음이다. 상무부는 수입이 증가하고, 정부 지출이 감소하면서 성장률이 감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대적인 관세 정책이 경제를 위축시킨 것이란 분석도 나오는데, 기업들이 관세가 발효되기 전에 수입을 대거 늘리면서 성장에 제동을 걸었다는 것이다.[워싱턴=뉴시스]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