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를 빛낸 18세 '신성' 피아니스트, 스승 앞에서 금의환향

2 days ago 4

8일 피아니스트 김세현 리사이틀 리뷰
'예술의전당 국제음악제' 일환
모차르트, 포레, 쇼팽, 리스트 등 연주
피아노로 노래하며 속도감과 여운을 살려

올해 세계가 새롭게 주목하게 된 한국의 피아니스트가 있다. 지난 3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롱 티보 국제 콩쿠르에서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1등에 오른 18세 피아니스트 김세현이다. 그는 지난 5월 유럽 전승 기념일 80주년 평화음악회에 피아니스트론 유일하게 초청돼 파리의 개선문에서 쇼팽의 곡을 선보였다. 200만명이 넘는 시청자들이 그의 무대를 지켜봤다. 지난 달엔 에팔탑 앞 광장에서 독주 공연을 했다.

지난 8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피아니스트 김세현이 선보인 리사이틀(독주회). / 사진제공. 예술의전당.

지난 8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피아니스트 김세현이 선보인 리사이틀(독주회). / 사진제공. 예술의전당.

파리를 무대로 삼았던 김세현이 고국에서 리사이틀을 열었다. 롱 티보 국제 콩쿠르 우승 후 서울에서 처음 연 독주회다. 지난 8일 ‘예술의전당 국제음악제’의 일환으로 서울 예술의전당 IBK기업은행챔버홀에서 열린 ‘김세현 피아노 리사이틀’에서 그는 모차르트, 포레, 쇼팽, 리스트 등 다채로운 작곡가들의 곡을 연주했다. 김세현의 예원학교 재학 당시 스승이던 신수정 피아니스트도 객석에서 제자의 금의환향을 지켜봤다.

노래하듯 피아노 치는 검은 고양이

김세현은 지금 미국 하버드대에서 학사,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석사 과정을 동시에 밟고 있다. 그는 내년 봄 발매를 목표로 세계적 음반사인 워너클래식과 데뷔 음반도 작업하고 있다. 이 앨범을 통해 포레와 쇼팽의 곡들을 프랑스 스타일로 해석할 예정이다. 루이비통 재단의 초청을 받아 오는 11월 파리에서 또 다른 독주회도 준비하고 있다. 그의 선배인 피아니스트 임윤찬이 2023년 누렸던 무대다. 미국에서 공부하고 프랑스에서 공연하는 그를 한국에서 자주 보기란 이제 어려운 일. 이번 리사이틀이 한국의 클래식 팬들에게 값졌던 배경이다.

공연 첫 곡은 모차르트 소나타 3번이었다. 검은 복장으로 무대에 오른 김세현은 검은 수건으로 건반을 닦은 뒤 허공을 바라보다 무언가 결심한 듯 연주를 시작했다. 첫 악장인 알레그로(빠르게)에선 자신만의 박자감으로 모차르트 특유의 경쾌함을 살렸다. 숨을 죽이다가도 갑작스럽게 몸을 튕겨내듯 건반을 두드리는 모습이 장난기 가득한 검은 고양이가 모차르트를 연주하는 듯했다. 사랑스러운 표현이 중요한 2악장에선 오른손의 높은 음으로 구애를, 왼손의 낮은 음으로 거절과 수락을 표현하며 연인의 알콩달콩한 사랑을 그려냈다.

지난 8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피아니스트 김세현이 선보인 리사이틀(독주회). / 사진제공. 예술의전당.

지난 8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피아니스트 김세현이 선보인 리사이틀(독주회). / 사진제공. 예술의전당.

3악장에선 김세현만의 매력이 도드라졌다. 그는 오페라의 테너처럼 노래하듯 연주했다. 금붕어처럼 오므려진 입술에선 노랫말이 당장이라도 튀어나올 것만 같았다. 그의 시선은 무대 뒤편에 새침데기 소프라노가 서 있는 것 마냥 피아노 너머 허공을 향했다. 김세현은 힘으로 건반을 압도하지 않았다. 대신 건반의 반동을 고스란히 살리면서 속도감을 유지하는 쪽을 택했다. 글리산도(여러 음들을 미끄러지듯 치는 기법)나 속주에서 튕겨 나온 건반이 내는 소리 하나하나엔 탱탱한 찰기가 넘쳤다.

포레의 곡 ‘뱃노래’ 1번에선 살짝 끊어치듯 음을 냈다. 찰랑거리는 물결이 딱딱한 나무로 된 배의 몸에 부딪혀 흩어지는 듯했다. 크레센도로 소리를 강하게 키워나갈 땐 물살을 헤쳐 나가는 용골의 에너지가 느껴졌다. 포레의 즉흥곡 2번에선 프레이징(음들을 묶어 하나의 의미 단위로 만드는 과정)을 지켜가며 음량을 다채롭게 조절하는 기교가 돋보였다. 도전적인 해석을 갈구하는 10대 피아니스트만의 풋풋함이 묻어져 나온 연주였다.

쇼팽과 리스트로 열연

1부의 마지막은 쇼팽으로 채웠다. 쇼팽의 마주르카 4개 곡에선 기쁨과 슬픔을 오가는 감정 폭을 보여줬다. 폭넓은 음역대로 웅장함을 한껏 드러내는 스케르초 3번은 에너지가 가득했다. 이따금 터치가 명료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지만 뚝 끓기는 느낌 없이 유려한 연주를 계속했다. 1부를 마친 김세현은 관객의 환호에 수줍지만 분명한 미소를 드러냈다. 자신만의 해석을 뚝심 있게 밀고 나간 젊은 연주자의 패기가 엿보였다.

지난 8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피아니스트 김세현이 선보인 리사이틀(독주회). / 사진제공. 예술의전당.

지난 8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피아니스트 김세현이 선보인 리사이틀(독주회). / 사진제공. 예술의전당.

공연 2부는 리스트의 피아노 소나타였다. 악장 구분 없이 30분간 쉴 새 없이 건반을 두드려야 하는 난곡이다. 정열이 극에 달하는 후반부에선 대가들도 실수가 잦은 작품이다. 윗옷을 다른 검은 옷으로 갈아입고 무대에 오른 김세현은 수건으로 건반을 닦은 뒤 30여초 간 숨을 골랐다. 긴 연주에 임하기 전 각오를 다지는 듯했다. 연주를 시작하자 그는 자신의 노래에 푹 빠진 것처럼 어깨를 넘실거리며 몰입했다. 절정에서도 그는 힘을 잃지 않고 화려한 속주를 선보였다. 애수 가득했던 마지막은 감정을 폭발하기보다 응축했다. 슬픔을 속으로 삭히듯 약하고 느리게, 그러면서도 체념하는 듯 짧은 울림을 내며 관객들에게 여운을 남겼다.

열연한 김세현이 팔을 뚝 내려놓자 관객 40여명이 일어나 박수쳤다. 관객들의 환호에 그는 앙코르 3곡으로 답했다. 쇼팽 야상곡 20번, 리스트 ‘사랑의 꿈’ 3번, 알렉시스 바이젠베르크의 ‘4월의 파리에서’를 잇따라 들려줬다. 올해 파리와 함께 했던 그의 뜻깊던 순간들이 떠오르는 무대였다. 이윽고 끝모르는 환호를 받은 그가 피아노를 향해 또 다가가자 관객들은 네 번째 앙코르가 시작되는 줄 알고 ‘오’하는 소리를 질렀다. 김세현이 피아노 건반 뚜껑을 닫자 이 환호성은 아쉬움인 섞인 웃음이 돼 대기로 흩어졌다. 리스트 피아노 소나타의 마지막처럼 여운이 있었다.

지난 8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피아니스트 김세현이 리사이틀(독주회) 직후 연 사인회에서 사인하고 있다. / 사진제공. 예술의전당.

지난 8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피아니스트 김세현이 리사이틀(독주회) 직후 연 사인회에서 사인하고 있다. / 사진제공. 예술의전당.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