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을 보니까 공간이 변하는데, 이걸 표현하려면 저도 동선이 있어야겠는데요.”
가을바람에 대나무가 흔들리던 서울 서대문구 창천동 대학가의 어느 건물 안. 반짝이는 재킷을 입은 청년이 비장한 표정으로 말을 건넨다. 이에 악보를 앞에 둔 교수가 되레 제안을 던진다. “매우 좋습니다. 오히려 제가 제안을 하고 싶었어요. 여기 무대는 객석 첫 열과 나란히 있는 구조예요. 객석에서 무대로 내려오면서 대사를 쳐도 됩니다.”
클래식 음악과 판소리를 한 공간에 충돌시키려는 이들의 모의는 오는 6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현실이 된다. 지휘자 최수열은 예술의전당 기획공연 시리즈인 ‘최수열의 밤 9시 즈음에’를 2023년부터 매년 두 차례씩 진행하며 현대음악의 진면목을 소개하고 있다. 연세대 음악대학에서 아르떼와 만났을 때도 그는 소리꾼 이봉근과 회의가 한창이었다. 이들은 공연 첫 곡으로 작곡가 손일훈의 신작 ‘오우가’를 선보인다. 오우가는 시인 윤선도가 물, 돌, 소나무, 대나무, 달을 벗으로 삼으며 쓴 시조이기도 하다.
나이팅게일 새와 소리꾼
손일훈이 쓴 오우가엔 클라리넷, 바순, 더블베이스, 해금, 가야금 등 동서양 악기가 섞인다. 여기에 이봉근이 목소리로 시조의 정취를 더한다. 그는 <적벽가>, <심청가> 등을 불렀던 소리꾼이다. 재즈를 섞은 퓨전 음악으로 판소리의 저변을 넓혔을 뿐 아니라 여러 방송프로그램에서 활약하면서 인기몰이를 했다. 그는 “구조가 탄탄하고 흔들리지 않는 장르인 클래식 음악을 작업하면서 판소리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며 “판소리는 당대에 ‘힙’했던 요소를 전통에 붙이며 발전해 왔다”고 말했다.
최수열이 이봉근에게 협연을 제의한 건 지난 4월. 판소리를 접목하고 싶은 현대 음악곡이 있어서였다. 네덜란드 작곡가인 테오 로에벤디가 쓴 곡인 ‘나이팅게일’이었다. 오우가가 이번 공연의 애피타이저라면 나이팅게일은 정찬이다. 나이팅게일은 안데르센 동화를 원작으로 한 실내악 작품이다. 중간중간 해설자가 내레이션을 붙이는 방식이여서 음악극과 비슷하다. 최수열은 이 작품에 즉흥적으로 추임새를 붙이며 이야기의 맛을 살리는 소리꾼을 놓고 싶었다고.
나이팅게일은 울음소리가 아름다운 새 이름이기도 하다. 동화는 중국의 한 궁정에서 펼쳐지는 이 새의 이야기를 다룬다. 황제는 정원에서 노래하던 나이팅게일을 궁궐 안에 들여 총애한다. 하지만 황제가 태엽을 감으면 소리가 나는 새(鳥) 세공품을 선물로 받자 나이팅게일은 낙동강 오리알로 전락한다. 나이팅게일은 황제의 곁에 있는 대신 정원으로 돌아가 자유로이 노래하는 길을 택한다. 최수열은 “판소리도 스토리텔링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이 작품과 어울린다”며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표현법으로 외국의 현대음악을 다뤄 어른을 위한 동화를 풀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클래식 음악 틀 벗어난 무대 만든다
새로운 나이팅게일 공연은 딱딱함과는 거리가 멀다. 최수열은 소리꾼이 관객에게 에너지를 전달하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무대를 최대한 유연하게 연출하겠단 구상이다. 인터뷰 중에도 이 둘은 소리꾼이 관객과 소통하면서 악단과 긴밀한 호흡을 나눌 수 있는 방안을 놓고 고심을 거듭했다. “여느 공연의 협연자 위치에 소리꾼이 있게 되면 관객과 지휘자 양쪽을 모두 보기 불편하잖아요. 그럼 정면에서 약간 옆쪽에 비스듬히 긴 의자를 놓고 거기 앉아서 소리를 내시는 건 어떨까요.” 최수열이 이렇게 아이디어를 내놓으면 이봉근도 새 발상을 던지는 식이었다. “메타버스에서 대사를 한 시간가량 해본 적이 있는데요. 이번 무대도 메타버스에 있는 것처럼 제가 움직이면서 대사를 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이야기의 시점을 누구로 잡느냐도 화제였다. 판소리의 소리꾼은 여러 시점을 오가며 이야기를 풀곤 한다.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대사를 던지다가도 돌연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상황을 정리한다. 이봉근은 “왕의 시점과 새의 시점, 어느 쪽으로 보느냐에 따라 이야기 주제가 달라진다”며 “이 시점을 어떻게 전달하느냐가 공연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최수열도 “나이팅게일이 노래하는 장소를 다룰 땐 향수나 귀향의 관점에서, 새와 모조품인 세공품을 비교할 땐 예술과 인공지능(AI)의 관계 측면에서 해석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냈다.
이봉근, 충무공 이야기를 창으로
이들의 토론에서 엿볼 수 있듯 이봉근은 전통에 새로움을 붙이는 데 주저함이 없는 예술가다. 그는 신라 문학인 향가에서 착안한 곡을 지어 앨범을 내기도 했다. 2022년엔 국립합창단과 창작 합창 서사시인 ‘훈민정음’을 선보였다. 최근엔 창원시립예술단과 함께 뮤지컬 ‘안골포 해전’을 공연했다. 이순신 장군이 한산도 해전의 승기를 몰아 진해 앞바다에서 왜군을 물리쳤던 전투를 소재로 삼았던 공연이다.
내년 상반기엔 판소리 <이순신가>를 공개한다. 이봉근은 지난 3년간 이순신 장군을 연구하면서 새 작품을 집필해왔다. 공연 시간이 한 시간 반에 달하는 대작이 나올 거라고. “중국에서 판소리로 <적벽가> 공연을 한 적이 있어요. 당시 중국인 관계자 한 분이 ‘중국 문화로 공연을 하니 판소리는 중국 것’이라고 말씀하시더라고요. 그 순간 이렇게 되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적벽가에 견줄 만한 우리 이야기로 판소리를 만들어야겠단 생각에 소재를 계속 찾아다녔죠. 그때 여수 앞바다에 놓여있던 거북선을 보고 충무공을 떠올렸습니다.”
인터뷰 주제는 어느새 명량 해전으로 넘어갔다. 당시 충무공이 어머니와 아들을 잃고 왕의 견제까지 받아야 했던 어려움에 대해 이봉근이 설명하자 최수열도 말러가 9번 교향곡을 쓰면서 겪었던 말년의 고난에 대해 소개했다. 최수열은 인천시립교향악단의 예술감독으로서 다음 달 7일 말러 교향곡 9번을 지휘한다. 역순으로 한 곡씩 말러 교향곡 전곡을 연주하는 프로젝트의 시작이다.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의 수석 객원지휘자이기도 한 그는 “(판소리와 접목한 기악을 할 땐) 지휘자도 악보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질 수 있다”며 “관객분들도 소리꾼의 자연스러운 추임새를 들으며 조금은 흐트러진 채로 공연을 관람하셨으면 한다”고 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7 hours ago
2


![뮤지컬 배우 김준영, 업소 영수증 올렸다 빛삭?…"불법 행위 없었다" [공식]](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01.42263208.1.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