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새 4% 뚝, 가상화폐 뺨치는 금값...‘미친 트럼프+중앙은행의 변심+금ETF’가 만든 이중 정체성 [★★글로벌]

2 weeks ago 1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목표하는 미국 경제의 '황금기'가 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불안정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금값이 지나치게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각국 중앙은행이 금 매입을 강화하며 금이 '안전자산+투기자산'으로서의 이중성을 키우고 있으나, 한국은행은 신중한 접근을 취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시대의 관세전쟁은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값 랠리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안전자산 선호, 미 국채·달러서 ‘金’으로
中 등 각국 중앙은행 미친 듯 매입 확대
신흥국 중앙은행 금 비축자산 ‘10%’대
약한 경제 펀더멘털에 한은은 ‘2%’ 불과
허약체질 원화에 금보다 달러 ‘우선순위’
팽창하는 금ETF 수요도 가격변동성 키워
미친 트럼프, ‘금 뉴노멀’ 무겁게 인식해야

사진설명

도널드 트럼프가 목표하는 미국 경제의 ‘황금기’가 역설적으로 ‘노란색 광물’에 의해 흔들리고 있습니다.

미 국채와 국채를 사기 위해 달러를 사는 안전자산 투자 메커니즘이 바뀌어 금 수요로 쏠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기축통화 지위국인 미국 경제에 신뢰의 위기가 커지지만 금값은 사상 유례없는 가격 변동성을 보이며 투기상품 성향으로 변질되는 ‘뉴노멀’이 연출되고 있는 것이죠.

이 신기한 랠리를 만드는 주인공은 이렇듯 트럼프와 각국 중앙은행, 그리고 금ETF로 요약됩니다.

23일(현지시간) 뉴욕 증시는 미·중 관세 협상 관련 트럼프의 유화적 발언에 크게 반등했습니다. 반대로 금 선물 가격은 하루 사이 3.7%(6월 인도분 선물 기준) 급락한 온스 당 3294.1달러를 찍어 눈길을 끌었습니다. 전날 장중 350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몸값이 마치 가상화폐처럼 4% 가까이 떨어진 것이죠.

이 미친 변동성을 보면 트럼프 시대가 금값을 ‘뉴노멀’의 장으로 이끌고 있음을 실감하게 됩니다. 관세전쟁이라는 위험천만한 불장난으로 인해 미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그 불똥이 기축통화인 달러에 떨어졌습니다.

사진설명

미 국채와 달러 자산에 대한 불안 심리로 시장의 큰손인 각국 중앙은행이 금 매입에 집중하면서 금이 ‘안전자산+투기자산’으로 시장에서 이중의 정체성을 키우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로이터는 최근 보도에서 각국 중앙은행이 트럼프 정책 리스크를 목도하고 달러화에서 보유자산 다변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그 결과가 금의 놀라운 랠리로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금값 랠리를 중기 추세로 보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첫 번째 촉매제가 됐습니다. 2022년 이후 중앙은행의 금 매입량은 지난 10년 평균의 두 배에 달하는 연간 1000톤(t)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세계금협회(WGC) 추산에 따르면 트럼프가 대선에서 승리한 2024년 마지막 분기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한 333t에 이릅니다.

또 지난 1~2월 중앙은행들은 금 보유량은 44t 순증했으며 이 구간에서 폴란드와 중국 중앙은행이 가장 많은 구매 행태를 보였습니다.

시장은 신흥시장 중앙은행들이 특히 금 매입에 적극 나서며 보유자산의 약 10%를 금으로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합니다. 여기에서 주목되는 행보는 한국은행입니다.

이 변화하는 뉴노멀에서 한국이 정지 상태인 점도 눈길을 끕니다. 다른 나라 중앙은행과 달리 한은은 외화보유액에서 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1%대에 불과합니다. 한은은 금의 높은 가격 변동성 등을 이유로 매입에 신중한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좀 더 디테일하게 들여다보면 비극이 있습니다. 우리 경제의 취약한 펀더멘털입니다.

다른 나라 통화보다 유독 달러와 저평가된 원화값 현실, 그리고 작은 내수에 수출 중심으로 먹고 살아야 하는 한국 경제의 냉엄한 현실에서 한은은 금을 살 돈으로 달러를 비축하고 늘 환율시장 충격에 대비해야 합니다. 다른 나라 중앙은행과 달리 한은이 세계적 금 랠리를 부럽게 바라볼 수밖에 없는 통점은 우리 경제 내부에 있습니다.

사진설명

아울러 최근 금 선물시세를 추종하는 금 선물 상장지수펀드(ETF)가 인기를 끄는 것도 금값이 가상화폐 수준으로 널뛰기하는 변동성 요인으로 파악됩니다. 로이터는 시장 전문가들의 평가를 인용해 “미 국채와 미 국채를 매입하는 데 필요한 달러는 이전까지 금과 안전자산 지위를 놓고 경쟁해왔다”며 “(탈미국 가속화로) 올해 중앙은행의 금 수요는 수십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개인이건 기관이건, 중앙은행이건 투자 포트폴리오 ‘다변화’라는 명목으로 미 국채와 달러 투자를 축소하는 지옥문이 열리면서 기상천외한 금값 랠리는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 세기적 금 랠리를 트럼프 대통령이 충격과 공포로 인식해 관세전쟁이라는 세기의 불장난을 멈추기를 바랄 뿐입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