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 행락객 대피”…북, 황강댐 무통보 방류로 임진강 필승교 수위 1m 넘어

10 hours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북한이 임진강 상류의 황강댐에서 물을 재차 방류한 것으로 보이며, 정부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위성영상으로 접경지역을 감시하고 있다.

북측은 최근 비가 내린 후 홍수 조절을 위해 방류를 결정했으나, 사전 통보는 하지 않아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과거 북한의 무단 방류로 인명피해가 발생한 전례가 있어, 이번에도 같은 상황이 재현될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임진강 필승교. [사진 = 뉴스1]

임진강 필승교. [사진 = 뉴스1]

북한이 남북 공유 하천인 임진강 상류 황강댐에서 물을 재차 방류한 것으로 보인다고 당국이 19일 밝혔다.

기후부는 황강댐 방류 여부를 확인하고자 위성영상으로 접경지역을 감시 중으로, 이날 오후 3시께 북한이 황강댐에서 물을 방류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북측은 10일부터 비가 계속 내리고, 17∼18일 강우가 이어짐에 따라 홍수 조절 용량 확보를 위해 황강댐을 비운 것으로 추정된다.

한강홍수통제소에 따르면 남측에서 임진강 최북단인 연천군 필승교 수위는 이날 7시 전후로 ‘하천 행락객 대피’ 기준인 1m를 넘었다.

북측은 이번에도 방류를 사전에 알리지 않았다.

2009년 9월 북한이 통보하지 않고 황강댐에서 물을 내보내면서 임진강 하류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했고, 이에 같은 해 10월 남북이 황강댐 방류 시 사전에 통보하기로 합의했지만 북측은 2013년을 마지막으로 합의에 따르지 않고 있다.

필승교 수위가 1m를 넘어서면 하천 행락객 대피, 2m는 비홍수기 인명 대피, 7.5m는 접경지역 위기 대응 관심 단계, 12m는 접경지역 위기 대응 주의 단계가 각각 발령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