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발레 발전에 평생을 바친 문병남 M발레단 예술감독이 9일 별세했다. 향년 64세. 고인은 1984년 국립발레단에 입단해 10년간 주역 무용수로 활동하며 한국 발레의 태동기를 이끈 인물이다. 이후 국립발레단의 지도위원, 상임안무가, 부예술감독을 역임했다.
고인은 2009년 국립발레단의 부예술감독 시절, 국가브랜드사업 1호 작품인 '왕자호동'으 안무해 한국적 전막 발레를 완성한 안무가이기도 했다. '왕자호동'은 2011년 이탈리아 산 카를로스 극장에서 열린 국제 댄스 페스티벌 개막작으로 초청돼 한국인 최초로 세계 무대에 진출한 전막 발레 작품을 만든 기록을 세웠다. 해외 라이센스 발레 작품 수입에 의존해왔던 국립발레단의 정책에 한국 창작 발레의 중요성을 알리는 신호탄이 됐다.
국립발레단을 나온 그는 2015년 고인은 M발레단을 창단했다. '왕자호동'과 같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대표 창작 발레 작품들을 구상하고 창작했다. 또 클래식 발레 레퍼토리(돈키호테 등)를 우리만의 프로덕션으로 완성하는 업적도 이뤘다. "한국 발레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싶다"는게 고인의 평생 바람이었다.
그의 대표 안무작 가운데 '안중근, 천국에서의 춤'은 2015년 무용창작산실 우수작이 돼 초연한 뒤 2021년부터는 서울 예술의전당 창작발레로 다시 제작됐다. 2022년에는 제12회 대한민국발레축제 개막작이 돼 명실상부한 스테디셀러가 됐다.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은데다 초연 후 10년을 맞는 기념비적인 해였다.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지난달 열렸던 공연은 전 2회차 매진이었다.
▶▶▶[관련 인터뷰] "말없는 발레로 풀어낸 안중근의 인간적 고뇌를 느껴보세요"
고인의 주요 작품으로는 '왕자호동'과 '안중근, 천국에서의 춤'을 비롯해 '오월바람', '처용', 그리고 '돈키호테' 등이 있다. 1987년 '86 아시안게임 기념 문화부장관상'과 1988년 '88년 서울올림픽 기념 문화체육부장관상', 1992년 국립발레단 창단 30주년 공로상, 2018년 발레협회상 대상 등 굵직한 상도 여러번 받았다.
빈소는 중앙대학교병원 장례식장 2호실에 마련됐으며 한국발레인·국립발레단 장으로 진행된다. 부고 소식이 전해진 9일 밤부터 발레계 인사들과 무용수들의 조문이 끊이지 않고 있다. 발인은 오는 11일 오후 1시.
양영은 M발레단장은 "고인의 발자취가 한국 발레 역사에 길이 남을 것" 이라며 "M발레단은 고인의 유지를 받들어 그의 작품을 꾸준히 계승해 그의 업적이 오래도록 기억되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해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