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재 ‘고민 발언’ 파장 커지자 진화
“통화가치 하락, 자본유출 커질수도”
한국은행이 ‘양적완화 도입설’ 진화에 나섰다. 비(非)기축통화국인 한국이 양적완화에 나서면 통화가치 하락, 외환시장 변동성 및 자본 유출 증대 등에 직면할 수 있다며 선을 그었다.13일 한은은 ‘공개시장운영’에 대해 다룬 블로그 게시글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한국은) 주요국에 비해 국채 발행량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채권시장 왜곡 가능성이 높고, 신용 창출 과정에서 시장이 과열될 우려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양적완화는 경기 부양을 위해 중앙은행이 국채 등을 매입해 시장에 돈을 푸는 비전통적 통화정책 수단이다.
한은의 양적완화 도입 논란은 지난달 30일 한은과 한국금융학회가 공동 주최한 정책 심포지엄 환영사에서 시작됐다. 환영사를 맡은 이창용 한은 총재는 “한국도 선진국처럼 정책금리가 제로 하한 수준에 근접하게 되면 양적완화 같은 대차대조표 확대 정책을 도입할 수 있을지,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등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의 발언은 중장기적인 통화정책의 방향성에 대해 미리 고민해야 한다는 취지였지만, 일각에서는 한은이 진지하게 양적완화 도입을 준비 중인 것으로 받아들였고 발언이 알려진 당일 국고채 금리가 하락하기도 했다.한은은 당일 “한은이 시중에 직접 돈을 푸는 양적완화를 검토하고 있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 총재도 “중장기적인 고민에 대한 이야기”라고 선을 그었다.
홍석호 기자 will@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