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라노=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금융결제원은 해외에서 스마트폰만 있으면 앱으로 결제와 현지 통화 인출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안에 인도네시아에서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 |
박종석 금융결제원장이 6일(현지시각)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한국은행 출입기자단과 만나 소액지급결제서비스의 국가간 연계를 위한 허브시스템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금융결제원) |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참석을 위해 이탈리아 밀라노를 방문한 박종석 금융결제원장은 7일(현지시간) 현지 식당에서 기자단과 만나 “각국의 소액지급결제서비스를 연계하는 허브시스템 구축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우리 여행객들이 해외에서 카드 없이도 QR결제와 카드 ATM을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 소액지급결제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엔 실시간 환전 후 체크카드처럼 결제가 가능한 ‘트래블 카드’가 출시돼 해외 결제와 환전의 편의성이 높아지긴 했지만, 카드를 발급받고 실물 카드를 휴대해야 한다.
현재 1단계로 인도네시아와 해외 QR결제서비스의 연내 실시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 지급결제협의체(APN) 회원국들과 협력해 우리나라와 교류가 활발한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연계 국가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인도네시아 다음으로는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로 확대할 계획이며, 네팔 등과도 관련 논의를 시작했다고 박 원장은 설명했다.
![]() |
해외 QR 결제 아웃바운드 서비스(내국인의 해외가맹점 결제). (자료= 금융결제원) |
박 원장은 “금융회사 및 핀테크들은 해외 결제 및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시 비자나 마스터카드와 같은 글로벌 카드사의 인프라를 이용하는 대가로 결제금액의 1% 안팎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며 “이번에 구축하는 허브시스템 인프라를 이용할 경우 수수료 절감할 수 있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금융회사 등의 경쟁력 있는 서비스 제공에 기여하고, 적합한 라이센스를 보유한 사업자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개방함으로써 국가 간 지급결제서비스에 대한 진입 장벽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금융결제원은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 중심의 금융서비스를 안전하게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 신용ㆍ체크카드를 모바일 기기와 연계해 인증할 수 있는 ‘트러스트원 서비스’도 준비 중이다. 이체나 송금 시 실물카드를 스마트폰에 접촉해 본인 인증을 할 수 있는 방식이다. 박 원장은 “트러스트원은 보안을 위해 매체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다소 불편할 수도 있지만 OTP에 비해서는 편의성이 높다”라며 “카드사와 협업이 필요해 업무협약을 맺는 등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