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흰살 먹었더니 돈 아꼈다”…식생활이 의료비 결정한다는데

6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건강한 식생활을 가진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의료비가 평균 9% 가량 덜 드는 것으로 연구에서 밝혀졌다.

서울대병원 연구팀은 1144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식생활평가지수에 따라 그룹을 나눈 결과, 건강한 식사가 의료비 지출을 줄이는 경향이 특히 젊은 층에서 두드러졌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뉴트리언츠'에 발표되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과 기사는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사진과 기사는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평소 건강한 식생활을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의료비가 9%가량 덜 든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21일 의료계에 따르면 박민선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토대로 성인 1144명의 식생활과 연간 의료비 지출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자를 ‘식생활평가지수’에 따라 4개 분위 그룹으로 나눈 뒤, 각 그룹의 연간 의료비를 파악했다. 이때 성별이나 연령, 소득, 만성질환 여부 등 비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항목은 배제했다.

식생활평가지수는 전반적인 식사의 질을 정량적으로 보여주는 도구다. 식생활을 14개 항목으로 나누어 100점 만점으로 평가한다. 과일·채소를 충분히 섭취할수록, 붉은 고기보다 흰 살 고기를 더 많이 먹을수록, 흰 쌀밥보다 현미밥을 많이 먹을수록 점수가 높아진다.

반면 나트륨과 주류, 탄산음료 등은 적게 먹을수록 높은 점수를 받는다.

연구 결과 식생활지수가 가장 높은 그룹은 가장 낮은 그룹 대비 총의료비가 평균 8.6% 덜 들었다. 외래 진료비는 12.1%, 입원 진료비는 8% 적었다.

이러한 경향은 젊은 층에서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났다.

연구팀이 1144명의 나이 중앙값인 57세를 기준으로 두 그룹을 나누어 식생활과 의료비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57세 미만 그룹에서 건강한 식생활을 했을 때 의료비를 11.5%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경우 누적된 영양 불균형이나 낙상, 감염 등 갑작스러운 건강 문제가 발생해 의료비 절감 효과가 희석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팀은 추정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뉴트리언츠’(Nutrients)에 게재됐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