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난 건 아니지?”...미국 ‘아픈곳’ 건드렸던 일본, 곧바로 꼬리 내렸다는데

6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토 가쓰노부 일본 재무상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미국 국채 매각을 압박 카드로 사용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의 미국 국채 보유 목적이 엔화 시장 개입을 위한 유동성 확보임을 강조하며, 협상에서 국채 매각을 언급한 것은 의도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일본의 미국 국채 보유량은 약 1조1259억 달러로, 이는 2위인 중국보다 44%가량 많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최근 ‘대미 협상카드’ 발언 번복
“국채 보유 목적은 엔화 안정화”

[사진 = 로이터 연합뉴스]

[사진 = 로이터 연합뉴스]

4일(현지시간) 가토 가쓰노부 일본 재무상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미국 국채 매각을 압박 카드로 사용할 일은 없다고 강조했다. 사흘 전 일본의 미국 국채 보유액을 대미 협상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가 파장이 커지자 입장을 번복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이날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제28차 아세안+3(한·중·일)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미국 국채 보유분을 팔겠다고 위협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그는 “내 발언은 일본이 미국 국채를 쉽게 매각하지 않겠다는 점을 미국에 명확히 보장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답변이었다”며 “국채 매각을 시사하려는 의도는 없었다”고 했다.

가토 재무상은 앞서 2일 일본 TV도쿄와의 인터뷰에서 “협상에서는 모든 카드를 테이블 위에 올려놔야 한다”며 “미국 국채도 그런 카드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국의 최대 채권국인 일본이 이를 협상 지렛대로 활용할 가능성을 처음으로 언급한 것이다.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일본의 미국 국채 보유량은 1조1259억달러(약 1560조원)로, 2위인 중국(7843억달러)보다도 44%가량 많다.

가토 재무상은 “일본의 미국 국채 보유 목적은 필요할 경우 엔화 시장에 개입할 수 있는 충분한 유동성을 갖추기 위한 것”이라며 “이 입장에는 변함이 없고, 국채 매각을 협상 수단으로 사용할 일은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